민선 8기 임기가 시작된 지 벌써 2년이 다 돼 가고 있다. 이제 2주만 지나면, 민선 8기 후반기에 돌입하게 된다. 집행부는 집행부대로 민선 8기 후반기 정책개발과 공약 달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고, 의회는 의회대로 원 구성에 따른 數(수) 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다.

특히, 후반기 의장 선출과 관련하여 출마를 희망하는 후보들의 數(수) 싸움은 충청권을 넘어 전국적인 현상인 것 같다. 역대 원 구성에 있어서 전반기와는 달리 후반기에는 이변이 속출하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졌던 것에 비추어 볼 때 의장 출마를 희망하는 후보 누구도 자신의 당선을 장담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불과 한 달 전 이재명 대표의 의중 즉, ‘明心(명심)’에 따라 ‘어의추(어차피 의장은 추미애)’라는 조어가 등장했을 정도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는 물론 정치권과 대다수 언론에서조차 당내 최다선으로 6선에 성공한 추미애 의원이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가 되는 것을 그 누구도 의심치 않았으나, 실제 투표에서는 우원식 의원에게 패하며 22대 전반기 국회의장은 우원식 의원의 품으로 돌아가게 된 것만 보아도 국회의원이든 지방의원이든 의원들의 표심은 예측이 쉽지 않다.

하지만, 역대 지방의회 의장 선출을 지켜보면, 시·도당위원장이나 당협위원장 또는 지역위원장의 입김에 따라 의장이 선출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 벌써부터 민선 8기 후반기 대전지역 의장 선출에서도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할 것이라는 풍문이 나돌고 있다. 대전지역의 경우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서구를 제외한 대전시의회와 4개 구의회에서 국민의힘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벌써부터 단체장의 마음에 드는 인사나 당협위원장·지역위원장의 의중이 후반기 의장을 결정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팽배해 있다. 하지만, 단체장과 호흡을 맞출 인사나 당협위원장·지역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된 인사가 의장으로 선출된다면, 지방자치는 후퇴할 수밖에 없다.

의장 선출은 자율 경선이 원칙이다. 물론 관행대로 選數(선수)에 따라 의원들의 합의추대로 의장을 선출한다면, 그보다 더 좋은 모습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의원들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選數(선수)와 관계 없이 의원들의 자율 투표에 맡겨 더 많은 지지를 받는 후보가 의장으로 선출되는 것이 타당한 일이다. 그래야만 의회를 이끌어가는 의장에게 정당성이 부여될 수 있고, 권한도 생겨 집행부를 제대로 견제할 수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도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지역위원장 등에게 종속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는 중앙정치에서 벗어나야만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를 꽃피울 수 있다. 따라서 이번 민선 8기 후반기 의장 선출부터는 한 줌 권력도 되지 시·도당위원장이나 당협위원장·지역위원장의 의중이 아닌 ‘의원들의 의원들에 의한 의원들을 위한’ 의장을 선출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