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합당을 공식 선언하고 다가오는 6.1 지방선거에서 단수 공천하기로 확정했다. 당명은 국민의힘을 유지하기로 하되, 최고위원 2명을 국민의당 몫으로 배분해 합류시키기로 했다. 이로써 재창당한 국민의당은 2년 2개월 만에 국민의힘에 사실상 '흡수 통합'된 것이다.
국민의힘 이준석,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합당 합의문을 발표했다.
양당 대표는 안 대표가 읽어내려간 합의문을 통해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선언했던 단일화 정신에 의거해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고 공동 정부의 초석을 놓는 탄생을 위해 합당 합의를 선언한다"며 "양당은 국민 모두를 위한 정당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사실 정당 간 이합집산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 양당의 합당은 지난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과 열린우리당이 합당을 이룬 것과 유사하며 근래 들어서는 지난 1월 열린민주당이 더불어민주당에 흡수통합한 것과 판박이다. 결국 정치적 이해타산과 세력 규합에 의한 결말이라 볼 수 있다.

양당의 합당에도 다가올 윤석열 정부하에서 국회는 여전히 여소야대 정국이다. 특히 합당에 반발해 온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이 제명될 경우 '112석 대 172석'의 대치 상황으로 이어져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일대 파란이 예상된다.
일단 외연 확장에 성공한 양 정당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함으로써 다가올 6.1지방선거에서 유리한 출발선에 섰다고 나름의 평가를 내리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건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는 소치에 불과하다.
국민에게 호소할 가치나 비전은 빠진 채,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임시방편적 땜질임을 국민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미적대기만 했던 양당 통합이 우선은 윤 당선인이 개입해 국민의당 바람대로 이뤄졌다고 볼 수 있겠으나 윤 정부하에서는 비로 이 점이 정국운영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국민 눈에는 통합이 정의고 분열은 불의(不義)라고 밀어붙인 결과가 보수 정당의 변신이나 개혁이 아닌 ‘반문 연대’만을 고집한 결과로 비쳐지기에 더욱 그렇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임기 말임에도 불구, 40%대 초중반을 넘나들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자칫 윤 당선인이 국민통합과는 거리가 먼 자신들만의 잔치에 과다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통합으로 단순히 세를 불리고 공동정부 운영에 대한 약속도 지키게 됐으니 그들 입장에선 지방선거에 어느 정도 승산이 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유권자들이 집권당이라고 해서 국힘에 표를 몰아 줄 것이라고 보는 건 무리가 있다.
국민은 ‘보수’가 더 이상 태극기부대로 지칭되거나 통미봉북(通美封北)을 뜻하지 않는 정치를, 낡은 지역주의에 기대기보다는 국민 정서를 중시하는 진정한 보수의 가치를 보여 주길 간절히 고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 [사설] 윤석열 당선인의 패착, 안철수 인수위원장
- [사설] '검수완박',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
- [사설] 조국 전 장관, ‘자숙(自肅)’이 ‘답’이다
- [사설] 정치는 국민과의 '계약‘, 국힘 ‘연패제한’은 '공정' 아니다
- [사설] ‘里長(이장)’이라는 자리
- [사설] 대통령 집무실 이전, ‘국민 공감대’가 우선이다
- [사설] 尹 당선인 인수위 ‘지나치게 정치적이다’
- [사설] 국민이 지쳤다, 이젠 ‘화합’이다!
- [사설] 정진석 공관위원장의 ‘비겁한 변명’
- [사설] 빛바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전 방문
- [사설] 과거로 퇴행하는 더불어민주당의 기막힌 공천
- [사설] 여야 막장 공천, 심판만이 답이다!
- [사설] 6.1 지방선거, 줄 투표를 끝내자!
- [사설] 정치꾼이 아닌 ‘지역 머슴’을 뽑읍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