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마무리됐다. 매번 지방선거 때마다 느끼는 일이지만,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도 역시 지방은 없고, 중앙정치 이슈에만 함몰돼 줄 투표 현상이 빚어지는 퇴행적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방자치제도가 부활한지 31년이 지났지만, 역대 지방선거에서 지방은 찾아볼 수 없고, 중앙정치만 집중적으로 비춰지는 모습에 이제는 신물이 나기도 한다.

윤석열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때문인지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호남과 제주 그리고 경기도를 제외한 12개 시·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빨간색으로 수를 놓으며, 지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TK를 제외한 15개 시·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파란 물결이 싹쓸이한 것과 달리 천양지차의 결과가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 출범 20일 만에 치러진 6.1 지방선거는 20대 대선의 컨벤션효과와 집권여당 프리미엄이라는 후광을 업고 선거에 임한 국민의힘이 지난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16년 만에 처음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국민의힘의 6.1 지방선거 완승은 지난해 4.7 서울시장·부산시장 보궐선거 승리와 20대 대선 승리에 이은 내리 3연승으로 2020년 21대 총선까지 전국단위의 선거에서 연전연패를 거듭하며 ‘만성 패배 증후군’의 악몽에서 허우적대던 당의 체질을 개선하는 계기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충청의 아들’로 불리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충청권의 기대 심리는 이번 6.1 지방선거 결과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지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한 이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두 차례 연속 더불어민주당이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4개 시·도 광역자치단체장을 동시 석권하며 정치 지형을 바꿔놓았지만, ‘충청의 아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기대는 국민의힘에게 처음으로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4개 시·도 광역자치단체장 동시 석권이라는 쾌거를 안겨 주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우도 지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31개 중 23개를 차지했지만,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31개 중 23개를 차지하는 정반대의 결과를 연출해냈으며,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세종을 제외한 대전·충남·충북에서 압승을 거두며 집행부에 힘을 실어주게 됐다.

하지만, 이번 6.1 지방선거에서 파란색이 빨간색으로 바뀐 것 말고 국민들에게 어떤 감동을 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물론 4년의 임기 동안 초심을 잃지 않고, 국민들에게 약속한 공약을 실천하며, 국민의 심부름꾼으로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면, 박수갈채를 받을 수 있겠지만, 4년 후 박수갈채를 받을 만한 당선인이 몇 명이나 될지는 미지수다.

더구나 매번 지방선거 때마다 당협위원장이나 지역위원장의 공천 줄 세우기를 비롯하여 무늬만 공천관리위원회일 뿐 실제로는 당협위원장이나 지역위원장의 입김에 의해 공천이 좌지우지 되는 모습에 실망을 넘어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따라서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에서는 지방선거만 되면, 공천을 위해 당협위원장이나 지역위원장에게 목을 매는 후보자들이 아니라 국민들만 바라보고 지역민과 호흡하며, 지역에서 열심히 봉사하는 후보자들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새로운 토양을 만들어주었으면 한다. 지난 2012년 18대 대선 당시 거대 양당이 기초의원·기초자치단체장 정당 공천제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고도 실제 이행하지 않아 국민들로부터 지탄을 받았던 점을 반면교사 삼아 윤석열 정부에서는 기초의원·기초자치단체장 정당 공천제를 폐지하여 정치 개혁의 신호탄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기초의원·기초자치단체장 정당 공천제 폐지라는 정치 개혁이 결실을 맺는다면, 오는 2026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는 지방자치 본래의 모습인 ‘풀뿌리 민주주의‘가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