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언론의 가장 관심을 받았던 내용은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임명 여부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0일 보좌관 갑질 논란을 빚고 있던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강행을 결정하고, 표절 논란과 자질 부족에 휩싸인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만 지명 철회를 결정하면서 여론은 들끓기 시작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지난 22일 브리핑을 통해 강선우 후보자를 비롯한 국방부장관·국가보훈부장관·통일부장관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과 관련하여 “금주 내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변인의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으로 ‘갑질의 여왕’으로 불리는 강선우 후보자의 여성가족부장관 임명은 기정사실화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강선우 후보자는 인사청문보고서가 재송부되기 전 자진사퇴 형식을 빌려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강선우 후보자가 자진사퇴를 하게 된 결정적인 배경은 바로 충남 천안갑에서 재선에 성공한 문진석 의원의 국민 눈높이와 전혀 동떨어진 발언이 결정적 원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진석 의원은 지난 22일 아침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사회자가 “강선우 후보자의 임명 유지는 어떻게 보세요? 제가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어제 화제가 된 한 신문 기사 제목이 이랬어요. ‘표절은 날리고 갑질은 살렸다’. 표절이 더 문제냐, 갑질이 더 문제냐 하면은 국민 정서는 비슷하거나 혹은 ‘갑질이 더 심각해’라고 보는 국민도 많거든요”라는 질문에 대해 “물론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에 있어서 갑질은 약간 성격이 좀 다르다 이렇게 생각합니다”라고 답변했다. 과연 우리 지역 출신 국회의원이 저런 마인드를 갖고 소위 善良(선량)이라는 국회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너무 어이가 없었다. 특히, 전화 인터뷰 내내 사회자의 질문에 듣기 거북할 정도의 발언으로 강선우 후보자를 결사옹위하는 모습을 보인 문진석 의원의 태도는 분명 지지층에서도 강한 반발을 불러올 헛발질이 분명해 보였다. 결국 문진석 의원의 전화 인터뷰 다음 날인 23일 여론 악화를 감지한 대통령실이 강선우 후보자 임명 재검토에 돌입했고, 강선우 후보자가 자진사퇴 하면서 지난 2005년 장관 인사청문회 도입 이후 최초의 현역의원 낙마라는 불명예까지 안게 됐다. 더구나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진석 의원 발언 논란이 기류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확인해 주면서 문진석 의원의 헛발질은 빼도 박도 못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문진석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중앙대 동문으로 소위 ‘7인회’ 멤버로 활동하는 등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권 최측근 인사로 통한다. 특히, 호남 출신인 문진석 의원이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서 고향도 아닌 천안갑에서 당선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양승조 전 충남지사의 초대 비서실장이라는 후광이 작용한 것이 사실이지만, 원내에 입성해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활동해 온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 문진석 의원은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민주당 보좌진협의회를 비롯한 지지층에서도 반발하는 인사에 대해 시종일관 옹호하는 헛발질을 할 것이 아니라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레드팀 역할을 자임했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문진석 의원의 앞으로 정치적 행보에도 더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더구나 문진석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과 충남도당위원장도 맡고 있다. 과연 문진석 의원이 집권여당 충남도당위원장으로서 충청권의 현안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등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어떠한 지역 민심을 전달하고, 충남도당 차원의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묻고 싶다. 문진석 의원의 강선우 후보자 옹호 발언을 지켜보면서 “충청권을 위해서 저런 노력을 기울인다면, 지역에서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텐데”라는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문진석 의원이 이번 헛발질을 계기로 우리 편 옹호에만 열을 올릴 것이 아니라 충청인들의 표에 의해 재선 고지를 밟은 만큼 앞으로는 집권여당 충남도당위원장으로서 그리고 집권여당 원내지도부로서 조속한 당진·아산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이라든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반대 등의 지역 민심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하는 역할을 자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관련기사
- [사설] 충청도가 '멍청도' 소리 듣는 이유
- [사설] 위기의 여왕들
- [사설] 김지철 충남교육감의 노골적인 후계자 지원
- [사설] 長官(장관)의 품격
- [사설] '一人之下(일인지하) 萬人之上(만인지상)'의 자리
- [사설] 이재명 대통령, '행정수도 완성' 의지는?
- [사설] 오로지 黨權(당권)에만 골몰하는 국민의힘
- [특별사설] 이재명 대통령, 이제는 국민통합이다!
- [사설] 유시민 씨의 삐뚤어진 여성관
- [사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 [사설] 대전에도 드리워진 명태균의 그림자
- [사설] 국민을 개·돼지로 아는 정치권
- [사설] 대전시의회를 어이할꼬?
- [사설] 제자리걸음만 지속하는 국민의힘 대전시당
- [사설] 삼권분립을 뒤흔드는 특별재판부 설치 추진
- [사설] 검찰청, 해체만이 능사인가?
- [사설] 더불어민주당, 조희대 대법원장을 탄핵하라!
- [사설] "국회의원이 뭐라고 이렇게 막무가내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