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304,077마리→ 2021년 2,766,250마리
등록 반려견 46.6%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유실·유기동물...분양 32.1%, 자연사 25.8%, 안락사 15.7%, 소유주 인도 11.9% 순
반려인구 1500만 시대.
그동안 반려인들의 인식개선과 함께 반려동물 등록이 의무화되면서 지난 3년 간 등록된 반려견 수는 2배 이상 증가하고, 유실·유기동물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실·유기동물 10마리 중 4마리는 죽음에 이르고 있어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었다.
■ 반려견 등록 대행기관 동물병원 88.3%, 등록 반려견 46.6% 내장형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의 최근 조사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500,321마리의 반려견이 신규로 동물등록이 이뤄졌다.
2021년까지 등록된 반려견은 모두 2,766,250마리로, 2018년 1,304,077마리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려견을 등록할 수 있는 대행기관은 전국에 총 3,989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이 중 동물병원은 88.3%, 동물판매업소는 7%를 차지했다.
또 동물등록 방법에서 반려견 소유자의 46.6%는 내장칩을 시술하는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구조된 유실·유기동물...분양 32.1%, 자연사 25.8%, 안락사 15.7%, 소유주 인도 11.9% 순
2021년 말 기준 전국의 동물보호센터는 269개소로, 한 해 동안 118,273마리(개 71.6%, 고양이 27.1%, 기타 1.2%)의 유실·유기 동물이 구조되거나 보호 조치됐다. 2018년 대비 약 3.3% 감소했다.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의 44%는 분양(32.1%)되거나 소유주에게 인도(11.9%) 됐다. 하지만 자연사(25.8%)하거나, 안락사(15.7%) 되는 등 죽음(41.5%)에 이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의 일반분양은 2018년 대비 약 7.2% 증가했다.
■ 길고양이 중성화(TNR) 지원사업 60% 증가
2021년 한 해 동안 중성화(TNR, Trap-Neuter-Return) 지원 사업을 통해 길고양이 83,539마리가 중성화 시술을 받았다. 2018년 대비 약 60% 증가했다.
■ 반려동물 관련 업체...동물미용업 39.7% 가장 많아
전국의 반려동물 관련 영업은 8개 업종, 총 2만 685개소, 종사자는 약 2만 4,863명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동물미용업이 39.7%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물위탁관리업 23.2%, 동물판매업 19.4%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관련 종사자 또한 동물미용업이 9,085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은 2018년 대비 약 53.3%, 종사자는 약 49.7% 증가했다.
■ 대전시와 세종시는?
조사자료에 따르면, 대전과 세종에서는 지난 한 해 11,981마리와 2,600마리가 각각 신규로 동물등록을 완료했다. 총 등록된 동물 수는 대전 87,150마리, 세종 12,768마리다.
동물등록 대행업체는 대전 112개소(동물병원 100개소, 동물판매업소 7, 동물보호단체 5), 세종 17개소(동물병원 17개소)로 나타났다.
동물보호센터는 대전은 직영센터로 운영되며 종사자 수는 25명이다. 반면 세종은 위탁보호 1개소에 운영인원 1명으로 가장 열악했다.
2021년 구조·보호된 유실·유기 동물은 대전 2,115마리, 세종 539마리다.
반려동물 관련 업체수는 대전 623개소, 세종 94개소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 2022 국정감사, 반려동물 관련 이슈에 주목
- 반려동물 장묘업 등 관련 신기술 규제개혁으로 스타트업 성장 돕나?
- [김종숙의 사·반·행] 대전시 반려동물 장례시설 한 곳도 없어, 원정 장례
- 내년 상반기까지 동물병원 진료비 조사...반려인에 공개
- 대전시 '반려동물 복지정책' 무엇이 있나?
- 대한수의사회, 동물병원 마녀사냥식 국정감사 '유감'
- '노령견' 환절기 건강하게 돌보는 방법
-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
- 대한수의사회, 동물의료 육성‧발전 위한 '수의사법 개정안' 적극 환영
- 13일부터 반려동물 백신 자가접종 불법
- “반려동물 사지말고 입양하자!”
- 농식품부, '동물보호법' → '동물복지법' 개편
- 전국 지자체 동물병원 일제 점검...진료비 게시 등 주요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