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물적자원 효율배분과 책임감이 요체' 

김강중 대표이사/발행인
김강중 대표이사/발행인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오는 유월 실시된다.

매화, 목련 봄꽃들이 소리 없이 피어나고 있다. 
소리 없는 꽃들에 비하면 '지선' 출마자들의 선언은 소음과도 같다. 

두어 달 고생해 달달한 권력을 잡는 일이니 이만한 일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대선'보다 열기가 뜨겁다.

대전만 해도 시장, 구청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하다. 
완장을 열망하는 이들의 마음은 이미 콩밭이다. 일시에 부나방처럼 포집기에 달려드는 형세다. 

다시 대전 발전을 운운하는 온갖 수사(修辭)가 난무하고 있다. 
자신만이 적임자라며 침이 마른다. 통합의 리더, 현안 해결, 행정의 혁신 등 나무랄 게 없다. 

선거를 30년 넘게 지켜봤다. 공약을 제대로 이행한 정치인, 단체장을 본 적이 없다.
이들의 면면을 보자. 국회의원도 입법기관이고 지역의 장(長)이니 함께 논해 보자.

'수신제가 치국'이란 말이 무색하다. 한 의원은 술만 마시면 아내 구타를 일삼는다고 한다.
또 다른 이는 부친상(喪)의 일화다. 상을 치르고 부의금 문제로 형제들과 드잡이를 했다. 

입에 담기 민망한 의원도 있다. 그는 부친의 죽음을 제때 거두지 않아 패륜의 원성이 자자하다. 
또 유성 술집에서 '잔푼' 받아가며 뒷일을 봐 준 일로 빈축을 샀다. 그도 어엿한 국회의원이 됐다. 이 정도면 개차반이 아닐 수 없다.

그런가하면 재정이 열악한 어느 구청의 일이다. 
그는 청장 재임 시 호화청사를 지어 재정을 고갈시켰다. 빚을 갚느라 직원과 구민들만 피해를 입었다. 

그렇다면 역대 대전시장들은 어떠한가. 
선거 전 공약은 그야말로 보랏빛 무지개다. 당선이 되면 딴전을 부리며 유권자에게 실망을 안겼다. 

임기 내내 선거캠프 패밀리와 스폰서를 먹여 살리는데 급급했다. 
그런 사이 대전시는 사람이 떠나고 기업과 기관은 떠났다. 
보여주기 MOU만 체결하다 '허접한 도시'로 전락했다. 

이들의 4차산업 육성, 인구 감소, 지방행정 혁신은 한낱 구호로 끝났다.
모두 '염불보다 잿밥'에 매달린 결과다. 예외없이 단임으로 물러났다. 
대전엑스포 이후 30년 간 쇠락한 오늘의 대전이 그 증거다. 

이렇듯 장(長)의 리더십은 그 집단과 구성원들에게 끼친 영향이 크다.
오늘의 대전시를 보아도 크게 다를 게 없다. 이른바 '도안아파트 게이트'가 그러하다.  한 아파트 기공식에서의 감리단장 손가락 절단사건도 놀랍다. 

토목건설과 개발을 남발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공약과도 어긋난 일이다. 
뿐인가. '중기부'가 세종으로 이전한 대가의 혁신도시 결과물이 무엇인가. 

이명박 정부 시절로 기억된다. 이완구 전 충남지사는 MB의 세종시 수정안에 맞서 지사직을 버렸다. 
시민들은 대전시장의 할리우드 액션과 대조된다고 입을 모은다. 

치적이라는 시민단체와의 협치는 대전시 행정을 크게 위축시켰다. 
옛 충남도청 리모델링과 향나무 무단벌목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이런 장(長)의 무능과 전횡이 정치권과 공직사회에만 국한된 건 아니다.

요즘 목원대학교 총장 리더십과 비리 의혹을 놓고 교내 안팎에서 말이 많다. 
무릇 대학 총장은 엄중한 자리다. 사학(私學)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지방소멸로 지방대학도 큰 위기다. 저마다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학교발전기금과 우수 교수진, 학생유치, 구조조정에 여념이 없다. 
지역 국립대도 통폐합을 모색하고 있다. 

대전에서 전통 사학을 자부하는 목원대학은 어떠한가. 
70년 역사가 목전이나 국회의원, 판· 검사, 행시 한 명을 배출하지 못했다.
대학 브랜드 평판에서 만년 하위권에 머물면서 신입생 지원자도 크게 줄었다. 
지역사회, 지자체, 대학 구성원 간 소통 부재가 낳은 결과다.

결국 전전 총장 시 부실대학으로 추락했다. 이때부터 교세(校勢)가 기울었다.
한때 2500여 명의 입학정원은 700여 명이 급감해 1800 명으로 줄었다. 

신입생 한 명이 줄면 4년 간 2500만 원의 재정이 감소한다. 
줄잡아 700 명을 4년 만 계산해도 175억 원의 재정이 손실난 셈이다. 
올해 300명 정도 충원이 안 됐으니 수년 내 존폐의 짐작도 어렵지 않다. 

이렇게 총체적 위기인데 교수와 직원 채용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4년 전 총장선거에서 자신과 경합한 특정 직원에 대한 보복인사로 뒷말이 무성하다. 

또 다른 유력 경쟁자도 대학원 입시정보 누설 프레임으로 낙마시켰다는 후문이다. 
선거를 앞둔 시기에 자신은 7억여 원의 교비 횡령 교사사건이 불거졌다. 
그 당시 기소유예처분으로 징계를 받아야 했으나 이를 무마하고 총장에 올랐다.

당시 검찰이 통보한 기소유예처분 통보서를 총장을 비롯 교무처 간부 직원들이 확인하고도 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만일 이를 은폐했다면 출마자격을 상실한 현 총장을 봐준 것이고 집단범죄라는 게 구성원들의 중론이다.  

대학 총장직이 '권위와 명예'를 누리는 한가한 자리는 옛말이 됐다. 
대학마다 단순 관리자가 아닌 혁신 전문 경영인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만큼 장(長)의 리더십에 대해 생각해 보자. 

모름지기 장(長)은 자원 배분의 능력 여부와 책임감이다. 조직 내 인적, 물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무엇다 중요하다. 
핵심은 인적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일이다. 구성원 간 신뢰를 구축하고 성과를 내야한다. 그리고 책임을 져야한다. 

그래서 어느 조직이나 인사를 만사로 여긴다. 측근을 주요 보직에 앉히고 안위만 살핀다면 그 조직은 무너지게 마련이다. 
대학의 경쟁력은 총장 경쟁력에 달렸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심으로 돌아가 대학을 살리는 밀알이 되길 바란다. 

훗날 같은 대학 출신 선후배 총장들이 한 대학을 망쳤다는 소리를 들어서야 되겠는가. 

관련기사

키워드

#김강중 칼럼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