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가 4일 ‘안락사는 예외적으로 불가피한 경우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앞서 일부 언론들은 "사람 공격한 개에 대해 정부가 안락사 법제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동물보호법과 별도로 맹견법 도입을 검토 중이다. 견종과 무관하게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안락사’를 명할 수 있는 내용을 맹견법에 넣을 예정이다. 시도지사 판단에 따라 맹견 사육을 금지할 수 있는 맹견 사육 허가제도 맹견법에 포함될 가능성 높다"라는 등의 보도를 쏟아낸 바 있다.
이에 농축산부는 “현행 '동물보호법'을 '동물복지법'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가칭 ‘맹견법’ 도입도 함께 검토하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맹견법의 목적은 맹견이 반려동물로서 사람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개물림 사고를 예방하고 혹여 발생했을 때의 후속절차 등을 종합적으로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 것.

해외 사례에 따르면 개물림 사고를 일으킨 개에 대해서는 기질평가 등을 거쳐 입마개 착용, 소유자 교육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안락사를 권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의 경우 맹견, 사고견 등에 대한 기질평가 결과를 1단계 ~ 4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4단계(매우 위험)의 경우에 한해 안락사를 권고하고 있다.
농축산부는 지난해 4월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사고견 기질평가제 등이 도입해 내년 4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물림 사고를 일으킨 개는 기질평가 결과에 따라 ‘맹견’으로 지정하여 입마개 착용 등 관리의무가 부과하고, 물림 사고 방지를 위한 소유자의 교육 이수 또는 개의 훈련 명령 제도를 두며, 안락사는 위험도가 큰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하반기 기질평가제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제도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검증 과정을 거치는 한편, 맹견법 등 분야별로 특화된 법률을 포함하여 '동물복지법'으로 체계를 개편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하반기에 완료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농식품부, 동물보호단체와 간담회 개최
- “취약계층 위한 공익동물병원 개설, 반려동물 무료 진료”
- [김종숙의 사·반·행] 동물 유기와 학대는 왜 끊이지 않는가?
- 국가자격증 '동물보건사'... 새로운 직업으로 부상
- 농식품부, '동물보호법' → '동물복지법' 개편
- 반려동물 진료비 '부가세 면제' 검토...의료비 경감 효과
- 부산시, 2023년 유망업종 마케팅 지원 사업으로 '반려동물' 업종 지원
- “집에서 더 가까이”...동물병원 등 반려동물시설 주거지역 입지 가능해진다.
- [위드펫 인터뷰] 한국펫산업연합회 이기재 회장 "통계조사 발표 신중해야"
- 빌리스벳, 제2회 ‘풉로깅’ 행사 성료
- PETA 아시아, 한국의 잔혹한 강아지 공장 실태 폭로
- 공정위 “파양사업자, 반려동물 소유권 포기했다고 계약 해제 막으면 안돼”
- 반려동물은 늘어나는데...동물화장장은 태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