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시작되자 7개 계약 '공개입찰'로 급 전환

충남 금산군청의 한 특정부서가 특별회계사업을 추진하면서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계약 처리로 지역 업체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수의계약과 지명 입찰 과정에서 특정 업체 밀어주기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18일 뉴스티앤티 취재를 종합하면, 금산군은 지난해 군북면 생활용수 사업과 관련하여 총 4건의 사업을 수의계약으로 진행했다. 계약 금액은 각각 8350만 원, 2698만 490원, 1699만 6500원 등으로 확인됐다. 또한 지난달에는 금산지구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전기 및 계측 제어)에서 5544만 원의 계약이 지명 입찰 방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이러한 계약 방식이 지역 업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 업체들은 금산군이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기 위해 수의계약과 지명 입찰을 남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본지의 취재가 시작되자 약 2천만 원 규모의 7개 계약이 갑작스럽게 공개입찰로 전환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혹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지역 업계 관계자 A씨는 “군 관련 부서가 공개입찰로 전환한 것은 이전의 부적절한 업무처리를 덮기 위한 꼼수”라며, “지난해 타 지역 업체 대표가 공직자에게 일본에서 접대를 했다는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부서 공직자 B씨는 일본 방문 여부에 대해 “개인적인 일”이라며 답변을 회피했고, 수의계약 및 지명 입찰 관련 사항은 주무관에게 책임을 돌렸다.
지역민 C씨는 “공직자가 사익을 추구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러한 부적절한 행위가 근절되지 않으면 공직사회는 부패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또 지역 업체 관계자 D씨는 “타 지역 업체는 수의계약을 받고, 지역 업체는 전관예우 차원에서 지명 입찰을 받는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이런 방식이 지속되면 지역 경제는 침체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금산군 재무과 관계자는 특별회계 내부 단독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도록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지역 업계의 불신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군 관계자들이 물품 구매 시 조달 물품 선정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한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군 공공기관의 계약 업무는 청렴한 공직자가 맡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본지는 지난 11월 27일 보도를 통해 공직자 B씨가 직무 관련 정보를 이용해 부동산 투기 의혹에 휘말린 사실을 보도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