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조사만 끝낸 채, 현장 환경 무시한 공사 추진
본지 중요 정황 포착 ‘수사기관 조사 피하기 어렵게 됐다’

본지가 연속 보도한 금산군 ‘월영 출렁다리’ 공사의 부실시공 의혹과 관리부재를 놓고 이에 대한 사법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한다는 여론이다.

특히 문정우 군수의 역점사업 중 하나인 이 사업은 시공관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조명설치가 뒤늦게 발주되는 등 총체적 부실이란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출렁다리 아래는 낙석 주의 구간

월영 출렁다리 아래 충북 영동군 진행방향 도로는 낙석주의 구간으로, 출렁다리 사업 계획 시 주변 환경에 대한 조사를 철저히 했어야 함에도 금산군은 암반분석(탄성파 조사) 결과만을 토대로 곧바로 시공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6일 본지는 현장 취재결과, 해빙기를 맞아 출렁다리 아래 낙석 구간에서 이미 일부 돌이 흘러내린 사실이 드러났다. 양 끝 암반에 앵커(22개)를 시공, 출렁다리를 설치했다고는 하지만 이를 지켜보는 주민들의 불안감은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사업비 의혹

금산군이 당초 제시한 월영공원 및 출렁다리 조성 총 사업비는 58억 원이다.

그러나 관급자재비 41억 원을 비롯 도급 3억, 기초공사비 3억, 출렁다리 접근로 데크 관급자재 10억, 도급 18억, 풍동실험 5천9백만 원, 조명시설 6~7억 등 모두 82억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다. 이당초 예산보다 무려 24억 원이 증액됐다.

군은 부족한 예산을 ‘내 발로 사업비(152억)’에서 충당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엄연히 예산전용으로 다른 사업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 허술한 사업추진

이 가운데 군은 당초 계획에 없던 출렁다리 조명시설의 필요성을 뒤늦게 인지하고 추가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사업이 얼마나 부실하게 추진되었는지 가늠케하는 내용이다.

■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와 비교

최근 본지는 금산 월영 출렁다리와 설치 환경 및 규모면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의 시공 현장을 둘러본 결과 여러 면에서 크게 대조되는 점을 확인했다.

 

먼저 사업비다. 금산군은 월영 출렁다리 조성 사업에 총 약 82억 원을 투입한 반면,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 조성 사업비는 조명시설 포함 57억 원으로 확인됐다. 공교롭게도 이 두 공사의 시공사는 동일한 회사다.

시공 및 관리감독 체계도 크게 달랐다.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 공사에는 감독관 3명, 감리 1명, 시공사 1개사, 시공대리인 1개사, 설계 1개사, 조명디자인 1개 업체가 참여했다. 그러나 금산 월영출렁다리 공사에는 군 주무관 감독 1명, 시공사 1개사 만이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월영공원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출렁다리 포함) 용역을 수주한 컨소시엄에는 군 관광문화과 주무관의 친동생 회사가 참여한 것으로 밝혀졌다.

출렁다리를 양 끝점에 단단히 고정하는 견인줄 숫자도 달랐다.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 견인줄은 12선이 깔린 것으로 확인됐지만 월영출렁다리의 견인줄은 10선으로 시공됐다.

 

금산군 관계자는 "견인줄 수가 차이 나는 것은 대왕암 출렁다리가 월영 출렁다리보다 28m 더 길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군이 월영 출렁다리를 건설하는 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면 지지대를 바위벼랑 끝이 아닌 더 뒤쪽으로 자리를 잡아야 했고, 지지대를 뒤 쪽에 설치했을 경우 울산 출렁다리와 같은 길이가 될 수 있었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지적이다.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도 당초 넓고 경관이 좋은 벼랑 바위 끝에 설치키로 했다가 안전성을 고려, 더 안쪽으로 시공했다는 점을 놓고 볼 때 군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 밖에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는 난간 안전망 지지대의 무게를 최대한 줄여 시공한 반면, 금산 월영 출렁다리의 난간 안전망 지지대는 한눈에 보기에도 상당한 무게감이 느껴지고 거칠게 시공됐다는 점도 대조됐다. 난간보호대도 시공 자재와 디자인면에서 크게 달랐다. 

지역 주민들은 “출렁다리 주변에는 낙석방지 철망이 설치되어 있을 정도로 인근지역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면서 “해빙기에는 사고위험이 더 커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