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지방정부 막론 바른 인사가 후년 '총선' 좌우

코로나가 한풀 꺾이고 정권이 교체됐다.
사람들은 세상이 달라질 것이라 기대했다.
세상은 달라진 게 없다. 여야 공히 당권 다툼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여야의 당(黨) 대표 찍어내기, '방탄대표' 옹립을 보면서 한심함을 금할 수 없다.
권모와 술수만 횡행할 뿐 대의는 없다. 거대 기득권 양당의 '쌩쑈'를 보는 듯싶다.
직설하자면 '쓰레기차 피하고 나니 ×차를 만난'격이다.
억지를 부리며 국민을 무시하는 태도 또한 닮은꼴이다.
작금의 여야 정치판을 보자.
최악의 경제난 속에 '여당'은 권력다툼에 여념이 없다.
수해 현장에서 망언을 일삼는 국회의원을 보면 이런 철부지가 없다. 국민들은 '개판 5분 전'이라 혀를 찬다.
벼랑에 몰린 민생은 안중에도 없다. 당명을 '국민의 짐'으로 바꾸어도 무방할 듯싶다. 대선에서 승리한 여당, 지방권력을 분점한 지방정부도 자리싸움이 한창이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인데도 삐꺽대고 있다. 인사 실패가 요인이다.
대통령 지지율이 27%로 떨어졌다. 인적 쇄신의 목소리가 높다.
여당은 당 대표를 징계하고 직무를 정지시켰다. 예정된 비대위 출범, 가처분 인용으로 극도로 혼란상태다.
역동적인 정책은커녕 권력다툼의 내전으로 공백상태에 빠진 것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또 있다. 충청권 시·도 교육청은 3선(選)을 자축하듯 자리다툼 비릿내가 진동한다.
하나같이 전리품을 나누듯 선거캠프 공신 심기가 도(度)를 넘고 있다.
깜냥도 안 되는 제 식구를 심자니 인사(人事) 원칙이 통용될 리 없다.
이제 막 출범한 대전시도 예외가 아니다. 모두 출범초기인 만큼 인사원칙에 대해 환기하고자 한다.
인사는 사람을 임용하고 등용하는 것을 뜻한다. 어느 조직이나 인사가 중요하다.
그래서 자고로 인사를 만사( 萬事)로 여긴다. 인사가 그르치면 망사(亡事)가 되는 법이다.
어느 집단이나 인재를 중시할 때 조직은 역동성이 생긴다. 인적 구성원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급락한 원인 중 하나도 인사 문제다. 인사난맥이 그의 지지율을 끌어내렸다.
윤 대통령을 뽑아 준 상당수가 등을 돌린 결과다. 중도층은 물론 지지층마저 이탈하고 있다. 마치 정권 말기의 레임덕 현상을 보는 느낌이다.
혁신과 경제를 살리지 못하면 후년의 총선, 정권 실패는 관화한 일이다.
잘못된 인사를 보면 박순애 교육부 장관,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인사다.
박 장관은 음주운전 문제 등으로 취임 전부터 논란을 일으켰다.
취임 뒤에도 취학 연령 5세 개편안은 국민적 반발을 야기, 사퇴했다.
김 장관 후보자는 정치자금 유용과 각종 의혹에 대한 선관위의 검찰수사로 지명 한 달여 만에 물러났다. 남성 편중인사를 의식한 여성 출신 졸속 인사가 화근이 됐다.
지지율 하락 요인은 또 있다. 매끄럽지 못한 정책이다. 검찰과 경제관료 출신 편중도 한몫했다.
무엇보다 사적 인연을 중시해 공사(公私)가 무너졌다. 국힘 원내 대표의 실수와 막말도 빼놓을 수 없다.
전 정권과 비교해도 별반 차이가 없고 '그들만의 인사 관행'을 보여줬다.
고만고만 끼리끼리 모이면 무엇이 잘못됐는지 로른다. 동종교배의 폐단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사조직 '사단(師團)'은 사단(事端)을 부르게 마련이다.
윤 정권의 '윤핵관', '육상시(六常侍)'도 이럴 가능성이 크다.
대전시는 어떠한가.
시장 측근을 친정체제로 구축하고 있어 뒷말이 무성하다. 초선 대전시의회 의장이 그렇고 경제특보가 그러한 경우다.
과학도시 역동성을 살리겠다는 경제과학부시장 인사도 다름 아니다.
하마평 속 대전시경제진흥원, 대전시관광공사 사장도 예외가 아니다.
염불보다 잿밥인 고시 출신 인사를 봐도 그렇다. 과연 대전시가 경제 일류도시가 될지 의문이다
측근과 선거캠프 '어공'들의 능력에 견줘 보면 그들은 과분한 자리를 꽤찼다.
과공이면 비례이듯 분수에 넘는 인사는 폐단만 낳을 뿐이다.
이렇듯 지방선거에서 이념과 진영을 말하지만 따져보면 밥그릇 싸움일 뿐이다.
보수든 진보이든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고 리베이트 나눠먹기는 같다.
대전시교육청도 이와 다르지 않다.
특정 대학의 인사 지분 챙기기, '00유람, 백0회' 등 사조직이 인사를 개입하고 있다. 서로 비리를 약점 삼아 주요 보직 흥정이 자행되고 있다.
그렇다 보니 법적 처벌을 받은 인사가 꽃보직에 앉는 경우도 흔하다.
심지어 초등교 교무부장이 동료 여교사를 9차례 성폭행해도 수수방관이다.
교내 CCTV 증거물이 확실한 데도 해임하는 선으로 봉합했다. 인사원칙이 무너진 결과다.
깜냥도 안 되고 지탄받는 간부를 선거공신이란 이유로 주요 보직에 앉혔다.
일벌백계 보다는 비위자를 옹호하고 있으니 기강이 세워질 리 없다.
재차 강조하건대 어느 조직이나 인사는 만사다. 인사가 무너지면 망사(亡事)가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말 잘 듣는 귀염둥이' 보다 쓴 소리 하는 인재를 두면 그 조직은 희망이 있다.
인재를 볼 줄, 쓸 줄 모르면 장(長)의 자격이 없다.
무릇 조직의 장(長)이라면 거북해도 새겨 들을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