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치러진 촛불 정국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
이제 다음 정부를 이끌어 갈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불과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문 대통령 업적에 대한 평가가 새삼 조명을 받고 있다.
사실 임기 말 대통령으로서는 유일하게 40% 중반을 넘나드는 역대급 호감도는 그의 공약 실천 여부와 관계없이 도덕성에 기인한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러니까 조국 전 법무장관 사태를 제외하면 정권 인사 중에 이른바 ‘게이트’로 불린 만한 사건이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일 텐데 어찌 보면 그나마 ‘운 좋은 대통령’이 아닌가 싶다.
이는 비교적 꼼꼼하고 소심한 성품의 노심초사하는 스타일인 문 대통령을 읽는 하나의 단면이 아닌가도 여겨진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아마도 국민의 서러운 눈물을 함께 공유하고 닦아주려는 노력이 평가된 것이 아닌가 헤아려 본다.

다만 광화문 시대를 열지 못한 점과 분열과 갈등의 정치 구도를 바꾸지 못한 점, 야당과의 소통 부재, 여야를 떠난 유능한 인재의 발탁에 있어서는 낙제점을 면키 어렵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이 가운데서도 문 대통령이 강한 어조로 약속한 일 가운데 단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한 국민통합과 차별 해소, 부동산 안정 문제는 단연 미완의 숙제가 되어 버렸다.
취임 당시 문 대통령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며 “통합과 공존의 새로운 세상을 열어 가겠다”고 청사진을 제시했다.
“문재인과 더불어민주당 정부에서 기회는 평등할 것입니다. 과정은 공정할 것입니다.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국민들의 서러운 눈물을 닦아드리는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낮은 사람, 겸손한 권력이 돼 가장 강력한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꼭 5년 전, 당시 문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다짐한 말이다.
대통령이 힘주어 약속한 이런 말들은 오늘의 현실과는 비교해 볼 때 얼마나 실천되었을까.
대통령제 아래 ‘국정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이 국민의 신뢰를 잃지 않았다는 점은 국민 입장에서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라 여겨질 일이나 이른바, ‘문재인 정부 사람’이었던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대오를 이탈해 ‘야당행’을 선택하도록 만든 책임은 그 이유의 타당성 여부를 떠나 몹시 아픈 흑역사가 되었다.
우리는 문 대통령이 지난 5년을 보내면서 남북관계를 상당히 개선하고,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완회를 위해 애쓴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우리는 문 대통령이 앞으로 잔여 임기 동안 민족문제에 대한 고뇌와 역사적 진실에 부합하는 희망의 빛을 끝까지 쏘아 올려 주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