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윤(민주) "잘 자리 잡았다...'예산 전액 삭감' 시민들 용납 어려울 것"
김영삼(국힘) "실효성 없어...잘못된 행정 바로잡아야"
대전시, 12월 정부 예산안 심사 따라 추경 반영 예정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행정 사무감사에서 지역화폐 온통대전 예산이 전액 삭감된 것을 두고 여·야의원간 설전이 벌어졌다.
앞서 대전시는 내년도 본예산을 7조 5401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그러나 정부가 내년도 정부예산안에서 지역화폐 지원을 위한 국비를 전액 삭감함에 따라, 시도 온통대전 관련 예산을 삭감했다.

송대윤(더불어민주당, 유성구2) 의원은 11일 열린 대전시 경제과학국 행정사무 감사에서 내년도 온통대전 예산 미편성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송 의원은 "올해 온통대전 카드 발급 수는 127만 장으로, 중복을 제외하면 107만 장이 발급됐다“며 "현재 107만 장 중 92만 장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온통대전은 지역화폐로써 잘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전시는 온통대전 사용지역의 65%가 서구와 유성구에 편중돼 있어 원도심의 소비 진작 효과가 미비하다고 분석했지만, 서구·유성구에 대전시민 절반이 넘는 82만 명이 거주하고 있고, 또 학원과 음식점 등도 밀집돼 있어 많이 사용되는 게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금이더라도 예산을 편성하고 정부 예산 추이를 보며 결정해도 됐을 것”이라며 “단번에 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것은 시민들이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따졌다.
반면 김영삼(국민의힘‧서구2) 의원은 ‘온통대전은 실효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올해 편성된 2500억 원의 예산이 가장 많이 사용된 달은 5월”이라고 지적하며 “아이러니하게도 선거를 앞뒀기에 의심을 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전임 시장의 업적 지우기라든가 또는 연속성 없이 바로 없애버린다면 대전시민들에게 누가 되는 부분은 분명히 있지만, 잘못된 행정은 바로 잡아야 한다”며 온통대전의 폐지를 주장했다.
한편, 대전시는 오는 12월 정부 예산안 심사 결과에 따라 온통대전 예산을 추경에 반영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