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 캐시백 혜택 폐지...소비 취약계층·소규모 가맹점 중심 캐시백 지원

대전 지역화폐 ‘온통대전’이 ‘대전사랑카드’로 개편된다. 상시 적용되던 캐시백 혜택 대신 소비 취약계층과 소규모 가맹점 중심으로 캐시백을 지원한다.
김영빈 대전시 경제과학국장은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지역사랑상품권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편안은 올해 지역사랑상품권 국비지원 정책방향에 맞춰 국비 배분액이 83억 원으로 확정 됨에 따른 것이다. 시는 국·시비 매칭비율 및 추가 소요에 따른 시비 208억 원을 추경예산에 반영해 오는 5월 이전 상품권 발행을 재개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 지역화폐 명칭 변경 ▲ 명절 등 특정시기 운영 ▲ 사용자 및 가맹점 매출액 별로 할인율 차등 지급 등이다.
우선 ‘온통대전’ 명칭은 ‘대전사랑카드’로 변경한다. 상시·보편적으로 적용하던 캐시백 할인정책은 폐지되나 명절이나 대전0시 축제, 소비촉진 행사 기간 등 연 5~6회 특정시기에 월 30만 원 한도, 3% 캐시백을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소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소비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 등이 연매출 5억 이하 가맹점에서 대전사랑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7% 캐시백을 추가로 지원, 최대 10% 캐시백 혜택을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오는 4월 중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기초연금수령자 등 복지대상자의 신청을 받아 추가 혜택 대상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추산 인원은 약 20만 명이다.
대전사랑카드 플랫폼 연계사업으로는 충전금 사용액의 1%를 원하는 동에 기부할 수 있는 '동네사랑 기부제'를 운영하고, 착한가격업소를 이용하는 경우 5% 캐시백을 추가로 지원한다.
시는 지역경기를 살리기 위한 ‘대전형 소상공인 직접 지원 사업’ 5개 분야도 집중 추진한다. 총 27개 사업으로,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74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은 경영개선자금 확대, 특례 보증 운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자영업 성장닥터제 확대, 전통시장 공동배송시스템 운영,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및 서비스 고도화, 원도심 상권 모델 거리조성, 디지털 커머스 전문기관 상설 운영 등이다.
김영빈 국장은 "명칭 변경 없이 지역화폐 정책을 개편할 경우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 판단했다”며 "소상공인 직접 지원을 확대하고 사회 취약계층 돌봄 강화 및 청년·육아 등 미래세대 투자 등 필요한 곳에 예산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