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활섭 대전시의원 "드론기업 탈 대전 현상 포착...방지책 마련해야"

대전에 위치한 기업이 지역을 떠나는 '탈(脫) 대전' 현상이 드론 업계까지 번지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0일 대전시 전략사업추진실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송활섭(국민의힘, 대덕구2)의원은 대전 드론 산업생태계 조성 현황에 대해 질의했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10일 대전시 전략사업추진실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 대전시의회 인터넷 방송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10일 대전시 전략사업추진실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 대전시의회 인터넷 방송

송 의원에 따르면 전국의 드론 기업 중 40%가 밀집된 대전은 지난해 2월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이하 드론특구)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드론 산업 규제가 한시적으로 예외 적용돼 기업의 시제품 시연·활용이 자유로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드론 기업들의 탈 대전 현상이 포착되고 있다. 

송 의원은 "대전은 대부분의 상공이 드론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관련 규제가 강하다"며 "규제 완화 없이 드론생태계 조성이 가능한가"라고 물었다.

대전시 정재용 전략사업추진실장은 "대전의 드론 기업 경쟁력은 전국에서 수위를 달리고 있을 만큼 우수하다"며 "그러나 인력 문제 또는 공장 증설을 위한 산업용지 부족 문제, 실증을 위해 타지역으로 떠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방산혁신클러스터가 구축으로 드론센터가 건립될 예정"이라며 "센터 내부에 기업들이 드론을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실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송 의원은 "드론 산업생태계 조성 사업 대부분 드론을 연구하고 제조·생산하는 기업 중심"이라며 "일반 시민 참여 없이 반쪽짜리 사업이 될까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 전략사업추진실장은 "여태껏 드론 사업이 공적인 영역과 산업 인프라에 집중된 것은 사실"이라며 "지역 기업에 대한 지원과 시민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드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