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대전시가 운영 중인 교통약자 차량이동 서비스가 제 구실을 못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4일 대전시 교통건설국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김선광(국민의힘, 중구2) 의원은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14일 시의회 산건위 회의실에서 2022년도 교통건설국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 뉴스티앤티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14일 시의회 산건위 회의실에서 2022년도 교통건설국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 뉴스티앤티

김 의원에 따르면 교통약자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차량은 총 336대다. 이 중 150대는 평소 일반 영업하다가 교통약자의 배차 요청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우처 택시’다.

지난해 기준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차량 운행 횟수는 57만 3853건으로, 차량 1대당 연간 1700여 회를 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바우처 택시를 호출했을 때 배차 간격이 늦거나 일방적인 승차 거부, 불친절한 서비스 등으로 인해 교통약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센터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타 시도에 비해 차량 수가 적고, 서비스가 많이 뒤처진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어 “센터 소속 상담원도 14명에 불과해, 한 명당 연간 4만 1000여 건의 상담을 처리하는 등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다”며 상담원들의 열악한 근로 여건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임재진 교통건설국장은 “대전의 경우 특별교통수단 법정 대수는 충족하나, 전체적인 수준이 타시도에 비해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년에 대전교통공사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업무를 이관하면서 단계적으로 특별교통수단을 증차해 나갈 계획”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상담원들의 근무 여건을 개선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는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에 관심을 두고 투자해 나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