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만사(人事萬事)라는 말이 있다. '사람의 하는 일이 곧 모든 일'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흔히 말하는 인사(人事)는 관리나 직원의 임용, 해임, 평가 따위와 관계되는 행정적인 일로 사람을 적재적소에 맡기는 일을 말한다.
사람이 하기에 따라서 성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임자를 찾아 일을 맡기고, 임기가 끝난 사람이면 그 직을 내놓게도 한다. 따라서 적재적소(適材適所)의 인사관리는 단체나 기관의 경영면에서 흥망(興亡)을 결정 짓게 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인사야말로 중요한 의미를 띄고 있는 것이다.
서두는 예서 그치자.
충청남도 의회의 인사에 대하여 거론하기 위해서다.
2024. 07. 04. ‘광장 21’ 이소연 기자의 기사에 의하면
“충남도의회 사무처 직원 인사가 발표 하루도 채 안 돼 뒤집히는 일이 발생했다.”라고 보도 하고 있다. 도의회 인사상 초유의 일로 공직 사회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더구나 인사 번복 사태에 도의회 사무처 개입 의혹까지 맞물리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인사를 번복하는 문제가 생겼다.
당초 발표와는 다르게 실제로는 11명이 아닌, 12명에 대한 인사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번 인사 발표에 포함되지 않은 농수산해양위원회 수석인 A 서기관을 홍보담당관으로 슬그머니 발령냈다는 것이다. 홍보담당관은 충남도의회 홍보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로 서기관(4급) 자리이다.
들리는 소식에 의하면 "일 잘하는 직원을 K 모 의원이 자신의 소속 상임위원회로 빼갔다"는 말도 있고, 이번 사태 배경에 의회 사무처가 상임 위원장에게 비위를 맞췄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러나 인사권 독립 후 모범을 보여야 할 충남도의회 인사가 정작 뒷거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면 어찌 되는가?
또한, 한번 인사한 직원을 빼내고 그 자리를 맡겼다면 그에 대한 해명이 있어야 할 터.
유능한 인재를 욕심내는 것은 당연한 것. 그러나 빈축을 사가며 그런 짓을 해서야 되겠는가?
2년 전 문화체육관광부가 광주 지역에서 공분을 사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경영진 인사를 담당했던 실무 국장을 오히려 승진 발령했는데 지역문화계와 시민단체는 물론 정치권까지 “경영진 인사 철회를 촉구하는 여론을 묵살하고 인사 파행과 연관된 인사를 영전시킨 것은 지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지만 한번 인사한 것은 번복할 수 없다고 하여 그대로 처리한 것을 필자는 알고 있다.
충남도의회여!
어찌할 것인가? 광주지역의 인사처럼 빈축을 사더라도 그대로 밀어부칠 것인가? 아니면 과감하게 바로잡을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