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으로 인해 분유와 이유식 판매 감소

개인 삶의 질과 행복 추구하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 변화 반영

펫박람회장에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진열되어 있다. / 펫산업연합회 제공
펫박람회장에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진열되어 있다. / 펫산업연합회 제공

저출산과 반려동물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가 한국 사회의 소비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마켓의 판매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반려견 사료의 판매 비중이 아기 분유와 이유식의 판매 비중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2020년까지는 아기 분유와 이유식의 판매 비중이 더 높았지만, 2021년부터 반려견 사료의 판매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며 이번 역전을 이루었다. 2019년에는 반려견 사료의 판매 비중이 41%였던 반면, 아기 분유와 이유식은 59%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반려견 사료가 51%로 격차를 줄였고, 2022년에는 54%, 작년에는 55%까지 판매 비중을 늘려왔으며, 올해에는 69%까지 판매 비중을 늘려 아기 분유와 이유식의 31%를 크게 따돌렸다.

반려견 간식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5년 동안 반려견용 간식의 판매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9년에는 53%였던 반려견용 간식의 판매 비중은 2020년 54%, 2021년 53%, 2022년 57%, 작년 61%로 증가했으며, 올해 1~5월 기준에는 63%까지 판매 비중을 늘려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아기 분유와 이유식의 판매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출산으로 인해 아기를 낳는 가구가 감소하면서 분유와 이유식의 시장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 또한, 아이를 적게 낳는 대신 아이에게 집중 투자하는 양육 트렌드도 분유와 이유식의 고급화를 촉진하고 있다.

G마켓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아기 분유와 이유식의 1인당 평균 구매 단가는 2019년 대비 54% 증가했는데, 반려견 사료의 단가 상승률(42%)보다 높은 수치다. 또한, 아기 분유와 이유식을 구매하는 고객의 1인당 지출액은 반려견 사료보다 약 3배 높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반려견 사료와 간식의 판매 증가, 아기 분유와 이유식 판매 감소는 저출산과 반려동물 인구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소비 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작년 0.72명(잠정치)으로 감소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기준 합계출산율도 0.76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통계청은 장래인구추계에서 올해 합계출산율이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사상 처음 0.6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집계한 전국 등록 반려견 수는 2019년 209만2천마리에서 2022년에는 302만6천마리로 44.6% 급증했다. 이는 단순히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것을 넘어, 반려견이 우리 사회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다.

실제로 최근에는 반려견을 위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반려견을 위한 의류, 액세서리, 가구, 미용, 교육, 훈련, 돌봄 서비스 등이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반려견과 함께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숙박시설, 레스토랑, 카페 등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소비 트렌드 변화는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과거에는 아이를 많이 낳고 양육하는 것이 사회적 가치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을 추구하는 가치관이 강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