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규정 무시 조직위 구성
대한체육회, 이의 제기...조직위 설립 지연
문체부, '합의안' 번복...갈등 키워
지역 체육계, '상호 협조·조직위 조속 출범' 촉구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이하 충청권 U대회) 조직위원회 출범을 둘러싼 관계기관의 갈등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모양새다.
이미 조직위 법인 설립 기한을 두 번이나 넘긴 상황에, 지역에선 자칫 대회 자체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높아지고 있다.
지역 체육인들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책임을 지고 대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가 지난 3월 충청권 U대회 조직위원회 창립총회를 열고 상근 부위원장과 상근 사무총장을 동시 선임하면서 불거졌다. 규정 상 조직위원 구성 시 대한체육회와 사전 협의를 해야 하나 이같은 절차를 거치지 않은 점이 문제가 됐다.
대한체육회는 '부회장과 사무총장 체제로는 하계U대회 정상 개최를 위한 준비가 어렵다'고 주장하며 충청권 4개 시도가 구성한 조직위 인선에 제동을 걸었다.
조직위 법인 설립 시 대한체육회의 발기인 인감 날인을 받아야 하는 충청권 4개 시도 입장에선 매우 난감한 상황.
여기에 중재에 나섰던 문화체육관광부마저 합의안을 번복하면서 갈등은 더욱 증폭됐다.
문체부는 지난 5월 3일 충청권 4개 시도 및 대한체육회와 자리를 마련하고 대한체육회의 입장을 수용해 상근부위원장과 사무총장을 2인 체계에서 1인 체계로 변경하는 합의안을 도출했다. 또, 같은 달인 5월 19일 조직위 창립 총회도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후 문체부는 '법리 해석 결과 이미 개최한 창립총회를 합당한 이유 없이 재개최하는 것은 법적·대외적 문제가 있고, 공모로 선임한 사무총장의 해임 역시 문제가 된다'는 이유를 들어 합의안을 뒤집었다.
사무총장 내정자도 대통령실 국민청원을 통해 부당함을 호소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결국 대한체육회는 문체부가 합의안을 일방적으로 무시했다며 조직위 발기인 인감 날인을 거부했고, 하계U대회 조직위는 법인설립 기한인 5월 31일을 넘기게 됐다. 조직위 출범기한은 애초 5월 중순이었으나 같은 달 31일까지로 한차례 연장된 바 있다.

사태가 이같이 치닫자 지역 체육계는 성명을 내고 책임 당사자인 문체부와 대한체육회를 향해 조속한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대전체육포럼·종목단체회장단은 지난 5일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체부와 체육회는 하계U대회를 유치해 놓고도 조직위 출범 시한을 넘기며 자칫 대회가 무산될 수도 있는 부정적인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직위 출범 지연 사태에 책임이 있는 문체부와 대한체육회는 적극적이고 진정성 있는 문제 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한다”며 “대회가 무산될 경우 560만 충청인은 이러한 사태의 책임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체육회도 같은 날 진천국가대표선수촌에서 전국 광역시·도 및 시·군·구 체육회장, 대한체육회이사, 분과위원장 등 100여 명이 참가하는 연석회의를 열고 ‘충청권U 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체육인 결의문’을 채택했다. 결의문은 7일 문체부에 전달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5월 3일 대한체육회와 충청권 4개 시도지사, 조용만 문체부 2차관이 만나 2027 하계유니버시아드 조직위 구성과 관련해 ▲ 공동위원장 체제(4개 시도 직제순으로 선임위원장 선임) ▲ 부위원장과 사무총장의 동일인 선임 ▲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에서 사무총장으로 요구한 김윤석 전 유치위원회 사무총장의 대외협력 전문위원 위촉 및 사무부총장 직위 신설(문체부 파견) 등을 원만히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같은 사항은 지난달 10∼11일 세계체육기자연맹 서울총회에 참석한 FISU 회장과도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문체부 측이 합의된 조직위 구성안이 아닌 기존 창립총회 의결 내용으로 법인을 인가하겠다고 고집해 5월 31일 조직위 법인 설립기한을 지키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대한체육회는 '5월 3일 합의된 조직위 구성안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같은 사태를 유발한 문체부 책임자에 대한 문책과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문체부 관계자는 “6월 중 관계기관이 모여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만들겠다”며 “국민들이 걱정 않도록 책임 있게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