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 위주 간식 줄이고, 적당한 운동과 ‘습식 먹이’로 체중관리 필요

건식 먹이 먹였을 때 탄수화물 소화율 더 높게 나타나

사람이 과체중이 되면 건강에 적신호가 오고 방치하면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듯, 반려동물도 과체중이 되면 건강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한다. 특히 노령견에 접어들면서부터 비만은 심각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반려견이 비만이 생기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문제가 되는 부분은 호흡기 질환과 관절염이다. 이를 방치하면 심각한 다른 질병을 동반할 수도 있다. 

그럼, 노령견에 접어든 반려견의 영양관리와 먹이 조절을 통한 체중조절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반려견이 노령기에 접어들면 필요한 최소 에너지가 성견 대비 20%까지 감소하기 때문에 과체중, 비만이 우려되는 경우 섭취 에너지의 양을 줄여줘야 한다.

노화의 정도는 견종, 유전, 영양,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반려견은 7살 정도가 되면 활동성 저하, 시각‧청각‧후각 기능 저하 같은 노령화 증상이 나타난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에 따르면 영양성분의 조성은 같지만 수분 함량이 10%인 건식 먹이와 수분 함량이 70%인 습식 먹이를 성견과 노령견에 각각 급이한 후 영양성분(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소화율을 비교한 결과, 건식 먹이를 먹였을 때는 노령견의 탄수화물 소화율이 성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습식 먹이를 먹였을 때는 성견과 노령견의 영양성분 소화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중형 품종과 소형 품종 모두 건식 먹이를 먹였을 때 노령견의 탄수화물 소화율이 각각 5.8%p, 2.0%P 높게 나타났다. 반면, 단백질, 지방 등 다른 영양성분의 소화율 차이는 없었다.

이는 최소 에너지 요구량이 줄어드는 노령견에게 건식 먹이를 주로 급여하는 것이 에너지 섭취량을 늘려 과체중이나 비만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수의내과 박철 교수는 “노령견의 비만은 관절염, 대사성질환 등 다른 질병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개체 특성과 퇴행성 질병 유무, 일일 운동량 등을 고려해 급여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장길원 과장은 “반려인들은 보관 문제로 습식보다는 건식 먹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비만 우려가 있는 노령견의 경우엔 습식 먹이를 늘리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반려동물 먹이는 크게 건식 먹이(수분10~12%), 습식 먹이(수분 65% 이상), 반습식 먹이로 나뉜다. 세계 반려견 펫푸드 시장 규모를 보면, 건식 먹이(약 60%)가 습식 먹이(약 21.2%)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비만인 반려견들은 간식을 육류에서 채소류로 바꿔주면서 간식 급여량을 조절해주는게 바람직하며 산책 등 적당한 운동을 시키는 것도 체중관리에 꼭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