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사업에 대한 우려섞인 질책이 쏟아졌다.

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5일 대전시철도광역본부를 상대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5일 대전시철도광역본부를 상대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사진은 산건위. / 대전시의회 제공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5일 대전시철도광역본부를 상대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 대전시의회 제공

송활섭(국민의힘, 대덕구1) 의원은 트램 사업비 급증으로 인해 기획재정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절차를 다시 밟는 만큼, 사업 지연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송 의원은 "총사업비가 당초 계획보다 15% 이상 증액되면 기재부로부터 사업계획 적정성을 재검토받아야 한다”며 “트램 급전 방식을 결정하는 데도 3년 정도나 걸렸는데,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와 국토교통부의 최종 기본계획 변경안 심사 등 행정절차에 드는 기간은 짐작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조철휘 철도교통광역본부장은 "예비타당성 면제를 신청하던 당시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진행했을 때 7개월가량 소요됐다”며 “한 번 적정성 검토가 된 사항이고 자료가 축적돼 있기에, 재검토해도 7개월 이상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김선광(국민의힘, 중구2) 의원은 트램 건설 사업비가 급증한 사실을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해 질타했다.

그는 "트램 건설비를 당초 7492억 원에서 물가·토지 인상분 등을 반영해 1조 4837억 원으로 증액했다고 했는데, 이는 궁색한 변명"이라며 "애초에 의도적으로 사업비를 축소해서 예타 면제를 받으려고 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어 “민선 7기 때도 분명히 트램 사업비 증액 사실을 알았을 텐데, 민선 8기 대전시장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하면서 시민들에게 알려진 것 자체가 소통이 부재하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 철도교통광역본부장은 "초기 km당 200억 원 수준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했으나, 실제 현장 여건이 맞춰 설계하다 보니 km당 400억 원 정도 필요한 상황“이라며 “트램 사업을 처음 추진하다 보니 정교하지 못했다. 시민들을 속이려던 의도는 없었다”고 말했다.

김영삼(국민의힘, 서구2) 의원은 트램에 대한 지역 내 부정적 여론이 적지 않은 상황 임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여전히 트램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감이 상당히 많다”며 “12년간 시장이 바뀌어도 트램을 고수하며 시간을 끌었는데,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하지 않았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조 철도교통광역본부장은 "하루빨리 도시철도 2호선을 대전시민에게 돌려주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라며 “트램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고, 업그레이드할 방안을 찾아 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