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난 17일부터 금강 세종보 수문을 다시 가동하면서 찬반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세종시는 세종보가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치라며 조속한 재가동을 촉구하고 있으나 지역 환경단체들은 생태계를 해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20일 세종시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세종보는 금강 수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라며 "도심하천과 공원에 용수를 공급하고, 친수공간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 시장은 "세종보의 장기간 방치로 인해 금강 내부에 모래톱이 쌓이며 육역화가 빠르게 진행됐고 기후위기로 인해 가뭄이 심화하고 있다"며 "세종보를 재가동해 안정적인 수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 시장은 세종보가 생태계를 훼손하고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주장에 대해 "세종보 가동과 녹조 발생 및 수질오염 간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나와 있다"며 "세종보 시험가동이 단순한 정기 점검에 그치지 않고 신속한 재가동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촉구햇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세종보 시험가동이 재가동을 위한 사전 절차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세종보 해체를 주장하는 '보 철거를 위한 금강 낙동강 영산강 시민행동'은 19일 성명문을 통해 "세종보 재가동은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태계를 훼손하고 환경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세종보는 준공 이후 한 번도 정상적으로 작동한 적이 없는 '고물보'이자 '좀비보'"라며 "수문을 닫으면 녹조 발생과 악취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보 개방 이후 물 흐름 회복으로 인해 생물 서식공간이 다양해지고 멸종위기종인 흰수마자의 서식 범위가 확대되는 등 수생태계가 개선되었다"며 보 재가동 주장이 과학적 근거 없이 주민들을 선동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감사원의 4대강 관련 감사 결과에 대해 "감사원이 데이터 보완을 주문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감사원 결과 발표 하루 만에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의결을 종용했고 15일 만에 보 처리 방안을 취소했다"며 "이는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일방적인 행정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