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최대소비자는 ‘국민’, ‘정치보복’ 자체가 적폐
후보등록 D-2, 2030세대의 막강해진 ‘힘’ 민족통합 안목 길러야

좀 삭막하다 그럴지 모르겠지만 정치칼럼을 쓰다보면 정치에 있어 과연 ‘투쟁의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자괴감을 느낄 때가 있다.
사실 인류역사는 투쟁의 역사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한계를 간단없이 넘나들었기에 더욱 그렇다.
그 속에서 늘 영웅이 나왔고 그 영웅은 그때마다 견강부회하며 역사와 맞서는 일을 주저하지 않았으니 참으로 그 ‘투쟁’이라는 놈은 카멜레온에 가깝다.
‘밀’(John Stuart Mill)의 ‘자유론’에 보면 인류역사에 있어 투쟁에는 3가지 형태가 있다고 쓰고 있다.
그 하나는 인간과 자연과의 투쟁이고, 둘째는 인간과의 투쟁이며 셋째는 인간과 인간 자신과의 투쟁이라는 것.
우리는 대선 후보등록을 이틀 앞둔 엄혹한 정국에서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든 그야말로 인간과 인간의 투쟁과정을 마주하고 있다.
민생보다는 ‘정치보복’ 프레임에 갇힌 현 상황으로 볼 때 분명 ‘소통’의 방식이 아닌 ‘투쟁’의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지 않나 싶다.
정치를 통해 미성숙한 국민들이 민주사회 시민으로 온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한 국가의 지도자인데 그런 가슴 벅찬 감동과 희망을 주기에는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넜다고 할 정도의 과열양상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국민입장에서 누가 정권을 잡든 민주주의에 기반을 둔 민족공동체의 길로 나가 한반도에 더 이상 전운(戰運)의 긴장감이 조성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은 모두 한 가지 아닐까 싶은데 몹시 허탈하기까지 하다.
남북분단으로 야기된 민족통합문제에 대해 비교적 이해가 좀 더 필요한 20,30세대의 막강해진 위상은 국민에게 큰 희망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염려되는 대목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니까 미국이나 일본과 가까워야 건전하고, 중국이나 북한과 가까우면 ‘빨갱이’라는 식의 이분법적 편 가름이 해방이후 우리 민족의 어깨를 지금까지 짓누르고 있다는 점을 그들이 좀 더 들여다보길 권한다.
경우에 따라 달라져야 주권국가 아니겠는가.
아무리 ‘대권’이 급하다고 할 말 못할 말 내뱉고 보는 식의 이전투구는 늘 그래 왔듯 선거가 끝난 후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우리는 사실 대통령 후보들의 ‘슬기로운 후보’생활에 대해 접해 본 일이 전무하다.
선거 때마다 남남갈등으로 국민은 온 몸에 피멍이 들 정도의 상처를 받고 선거가 끝나면 캠프참여자가 중심이 된 그들만의 잔치에 또 한 번 상처를 받는 일의 연속 아니었던가.
정치의 최대 소비자는 국민이다.
헛된 권력이 아닌 국민에 줄서는 대통령감은 과연 누구일까.
국민 분열과 갈등을 악화시키는 정치는 우리 사회를 파국으로 몰아갈 게 뻔하다.
여야가 정권 재창출과 정권 교체라는 목적은 다르지만 분명한 점은 눈앞의 이익을 버리고 국민만 바라보는 생산적인 정치일정을 소화해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대선이 부디 국민을 상대로 한 ‘선동’의 편 가르기식 선거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야말로 ‘코베이징 올림픽’보다 중요해진 이번 대선 레이스의 남은 선거운동기간 당리당략적 네거티브가 아닌 민족공존과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핵심 분야에 대한 각 후보 진영의 정책과 비전이 돋보일 수 있었으면 참 좋겠다.
역사를 가슴에 품지 못한 지도자와 정직하지 못한 지도자는 리더로서 결코 ‘우량주 정치인’으로 기록되지 못하는 과정을 우리는 처절하게 지켜보지 않았는가.
더 이상 죄 없는 국민이 역사의 굽이굽이마다 값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가 지금 누리는 자유가 ‘자유론’에 빚지고 있다는 말을 듣지 않도록 각 후보들의 고뇌에 찬 통찰력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