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 진행...독립운동가 만해의 생가·사당·문학관 있는 홍성은 정신 계승의 최적지 주장...충남도의 주도적 협의 당부
"독립운동 성지로서 충남의 역사적 위상 확립해야"..."만해의 숭고한 정신이 고향에서 다시 꽃피울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각별한 관심과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 호소

충남도의회는 24일 국민의힘 이상근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만해 한용운 선사의 묘소를 고향인 홍성으로 이전할 것'을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는 24일 국민의힘 이상근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만해 한용운 선사의 묘소를 고향인 홍성으로 이전할 것'을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의장 홍성현)는 24일 국민의힘 이상근(초선, 홍성1)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만해 한용운 선사의 묘소를 고향인 홍성으로 이전할 것’을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상근 의원은 “만해 한용운 선사의 삶과 사상이 시작된 고향 홍성만큼 그 정신을 온전히 기릴 수 있는 곳은 없다”면서 “홍성에는 선사의 생가와 사당·만해문학체험관이 자리하고 있어 선사의 삶과 사상·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고 교육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역사적‧문화적 기반이 갖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1879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난 만해 한용운 선사는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서 시인이며 승려·사상가로 활동하며 일제강점기 민족의 독립과 자각을 외쳤던 민족정신의 상징적 인물이다.

이상근 의원은 이어 “그러나 현재 선사의 묘소가 서울 중랑구 망우역사문화공원에 안장돼 있다”면서 “홍성군이 그동안 묘소 이전을 여러 차례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족의 반대와 2012년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에 따른 법적‧행정적 제약으로 인해 추진이 무산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상근 의원은 “홍성군 단독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이제는 충남도가 중심이 돼 국가유산청·유족·종단 등과 적극 협의에 나서야 할 때라”면서 “법적‧행정적 제약은 논의와 합의를 통해 개선할 수 있으며, 유족의 마음 역시 진정성을 가지고 소통한다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이상근 의원은 “만해 선사의 묘소 이전은 단지 한 인물의 귀향이 아닌 충남도가 독립운동의 성지로 재조명되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이는 충남의 역사적 위상을 바로 세우고, 후손에게 올바른 역사관과 자긍심을 심어주는 매우 뜻깊은 결정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상근 의원은 끝으로 “이 제안은 불교계와 10만 홍성군민 모두의 오랜 염원이라”면서 “만해의 숭고한 정신이 고향에서 다시 꽃피울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각별한 관심과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하며, 이날 5분 발언을 마무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