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세무서 온양지역 이전 무산'에 대한 입장문 배포..."당시 복기왕 시장이 첫 단추를 잘못 끼웠기 때문 아닌가?"라고 반문

김영석 국민의힘 아산갑 국회의원 후보가 아산세무서 온양 이전 무산 책임을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돌렸다. / 뉴스티앤티 DB
김영석 국민의힘 아산갑 국회의원 후보가 아산세무서 온양 이전 무산 책임을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돌렸다. / 뉴스티앤티 DB

김영석 국민의힘 아산갑 국회의원 후보가 아산세무서 온양 이전 무산 책임을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돌렸다.

김영석 후보는 2일 ‘아산세무서 온양지역 이전 무산’에 대한 입장문을 배포하고, “당시 복기왕 시장이 첫 단추를 잘못 끼웠기 때문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김영석 후보는 “지난 3월 21일 TV토론회(SK브로드밴드 중부·세종방송 주최)에서 논의되었던 아산세무서 이전 실패와 관련한 사실관계와 입장을 밝힌다”면서 “당일 토론에서 밝혔듯이 지금 아산시 배방에 있는 아산세무서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이전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2022년 03월 24일 한 언론(동양일보)은 ‘국세청 등과의 이전에 따른 협의를 마무리 하지 않은 채 공공청사 용지를 확보하는 등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정부의 비축 부동산 매입 등에도 실패하면서 세무서 이전은 무산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석 후보는 이어 “따라서 ‘아산세무서 이전이 왜 무산되어 8년 이상 답보상태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본다”면서 “아산시의 아산세무서 이전·신축 추진 현황을 보면, 2015년 07월에 ‘도시개발사업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고시’를 하였고, 2016년 05월에 ‘아산세무서 신축청사수급계획에 온천지구 최우선 반영 협의’를 했다는 것이라”며 “당시 아산시는 아산세무서 이전과 관련한 협의 단계에서 온천동 1937번지 일대 11,572.8㎡ 부지를 약 112억원에 매입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영석 후보는 “하지만, 2016년 기획재정부 예산안에 아산세무서청사 건립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비가 반영되지 못했고, 2017년에는 정부비축토지로 매입을 위한 기재부 예산안에도 편성되지 못했다”면서 “2018년 04월에 아산세무서는 아산시의 청사신축 부지확보 협조 요청에 ‘2년간 부지확보예산이 무산된 점·납세자의 접근 편의성·입지조건·도시의 성장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대상부지는 신축청사 부지로 적합성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공문을 아산시에 발송해 원도심으로 이전이 불가함을 통보했다”면서 “이렇게 아산세무서 이전이 무산된 것은 당시 복 후보가 시장이던 아산시가 국세청과 최종 협의를 끝마치기도 전에 일방적으로 이전부지를 먼저 매입하고 이 부지로 이전을 주장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시각이 강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영석 후보는 “또한 당시 아산시장이었던 복 후보는 2018년 도지사 출마를 위해 2018년 1월 16일 출마 선언을 하고, 시장임기를 4개월여 남긴 2월 7일경 시장직을 사퇴했다”면서 “결국 복 후보는 충남도지사 출마를 위해 2017년 하반기부터는 자신의 도시자 출마에 전념한 것이 아니냐 하는 비판에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리고 첫 단추를 잘 못 끼운 행정으로 인해 해당 부지 매입비에 대한 이자를 1년에 1억 4,000만원을 기재부에 매각 시까지 부담하게 한 원인 제공자로서 아산시민에게 사과가 앞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김영석 후보는 끝으로 “이번 선거에서 원도심으로 아산세무서 이전 공약을 되풀이하고 있는 복 후보에게 문재인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2019. 1.~2019. 8.)과 국회의장 비서실장(2020. 6.~2021. 10.)으로 있으면서 아산세무서 이전문제를 왜 간접적으로나마 해결하지 못하였는가 하고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고 언급한 후 “다수의 시민들은 선거 때 표를 위해서 지키지 못하는 반복된 공약으로 유권자를 희망 고문하기보다는 행동으로·실천으로 약속을 이행하는 정치인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 지배적이라고 본다”면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아산세무서가 시청 주변의 원도심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공감함을 다시 한번 밝힌다”며 “또한 아산세무서 원도심 이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아산시민에게 약속드린다”고 천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