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노인복지 연구' 주제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연구회 대표 "연구결과가 실질적인 조례 제정과 예산 반영으로 이어져 유성구가 전국 최고의 고령친화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모든 노력 다할 것" 다짐

유성구의회(의장 김동수)는 18일 의회 혜윰실에서 의원연구단체인 ‘노인복지 연구회(대표의원 여성용, 이하 연구회)’가 ‘유성구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노인복지 연구’를 주제로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유성구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실질적인 노인복지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둔 이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는 연구회 대표의원인 여성용(초선) 부의장이 진행을 맡아 진행했으며, 기존의 노인복지가 단순 생계 지원 등 ‘생존 중심 복지’에 머무르는 한계를 지적한 후 “앞으로는 만성질환 예방·사회적 고립 해소·자립 지원을 포괄하는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한 통합적 정책 모델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회는 이에 따라 ▲ ICT 기반 통합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 치매 초기 대응 모델 구축 ▲ 세대 융합형 건강 공유 공간 조성 ▲ 법적·제도적 기반 확보 등 4대 핵심 정책을 제안했다.
여성용 부의장은 “이번 연구는 유성구가 가진 과학기술 인프라를 복지에 접목해 ‘돌봄’을 넘어 ‘자립’과 ‘참여’를 지원하는 모델을 찾는데 집중했다”면서 “연구결과가 실질적인 조례 제정과 예산 반영으로 이어져 유성구가 전국 최고의 고령친화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날 최종보고회에는 연구회 대표의원인 여성용 부의장과 소속위원인 김동수(재선) 의장과 국민의힘 한형신(초선) 의원을 비롯하여 관계 공무원·용역수행 관계자가 참석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유성구의회 #의원연구단체 #노인복지 연구회 #유성구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노인복지 연구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초고령사회 #여성용 #ICT 기반 통합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치매 초기 대응 모델 구축 #세대 융합형 건강 공유 공간 조성 #법적·제도적 기반 확보 #4대 핵심 정책 #김동수 #한형신
이용환 기자
s_yhle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