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출퇴근 지옥 해소, 청년 유출 막는 생명선”…김 지사 “기재부 출신으로서 절차 단축 방안 적극 모색”

경기 광주시 신현동 주민들이 수년간 염원해 온 ‘판교~오포 도시철도’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0일 광주시 신현행정문화체육센터에서 열린 주민 간담회에서 “국토부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계획대로라면 12월 고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신속 추진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방세환 광주시장을 비롯해 지역주민 100여 명이 참석해 교통난 해결을 호소했다. 주민들은 “출퇴근길이 판교까지 1시간 넘게 걸리는 등 교통지옥이 일상”이라며 “교통난 때문에 젊은 층이 빠져나가고, 지역이 활력을 잃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김 지사는 “여러분의 열망을 잘 알고 있다. 경기도 교통계획 중에서도 이 사업만큼 신경 쓰는 것은 없다”며 “시간을 단축하고 절차를 앞당길 방법을 찾겠다”고 답했다.
간담회에서는 중전철 도입과 안전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구체적 요구도 나왔다. 한 주민은 “단기 추진보다 장기 이용성이 높은 중전철로 추진해달라”고 요청했으며, 다른 주민은 “성남 여수동 지역 수서~광주선 노선이 아파트를 관통하는 사례처럼 안전 문제가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 철도 담당자는 “판교~오포 노선은 전 구간 지하로 계획돼 있고, 최신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을 철저히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판교~오포 도시철도는 총 연장 9.5㎞, 총사업비 9,452억 원 규모로, 완공 시 오포역에서 판교역까지 약 12분 만에 이동이 가능하다. 경기 동남권의 만성적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광주시민의 생활권을 판교·분당과 직접 연결할 핵심 인프라로 평가된다.
김 지사는 “국토부와의 협의가 이달 내 마무리되면 연내 고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후 사전타당성 조사와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를 3년 내로 최대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기재부 장관 출신이기에 절차 단축의 노하우를 알고 있다. 경기도와 광주시가 협의해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제2차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의 핵심 과제로 지정했으며, 국비 60%, 지방비 40% 구조로 추진된다. 김 지사는 “광주시의 의지가 매우 강하다. 성남시와도 협의를 이어가며 경기 동남권 교통체계 전환을 이끌겠다”며 “경기도의 교통 혁신 청사진 안에서 판교~오포 도시철도는 가장 중요한 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판교~오포 노선뿐 아니라 국지도 57호선(태재고개) 확장과 신현천~오산천 연결 등 생활형 인프라 확충에 대한 건의도 잇따랐다. 김 지사는 “광주의 교통 문제는 단순한 이동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질과 지역 균형의 문제”라며 “철도, 도로, 주거, 문화가 함께 발전하는 광주형 교통혁신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