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보조금보다 인프라·인재양성 중심 지원…경기도가 반도체 혁신의 중심 될 것”

경기도가 반도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찍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성남 제1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경기도 팹리스 아카데미’ 개소식에서 “경기도의 산업정책, 특히 반도체산업의 방향은 생태계 조성에 있다”며 “특정 기업 지원보다는 인프라와 인재를 키워 산업이 자생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취임 초기부터 팹리스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계 제안을 듣고 바로 추진을 결정했는데, 이렇게 결실을 보게 돼 기쁘다”며 “팹리스 아카데미를 통해 실무형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팹리스 아카데미’는 경기도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팹리스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내 최초 지방정부 주도의 팹리스 전문교육기관이다. 시스템반도체 산업이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전문 설계 인력이 부족해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했다.
경기도는 총 5억5천만 원(경기도 2억 원, 대한상공회의소 3억 원, 고용노동부 5천만 원)을 투입해 제1판교 스타트업캠퍼스 내에 교육 공간을 마련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교육생 모집과 취업 연계를, 한국팹리스산업협회는 기업 수요를 반영한 커리큘럼과 강사 지원을 맡고, 경기도는 교육 인프라와 공간 운영을 지원한다.
오는 11일부터는 팹리스 기업 재직자 90명을 대상으로 단기 실무형 교육이 시작된다. 내년에는 학사 졸업(예정)자 및 재직자 350명으로 교육 대상을 확대해 산업 맞춤형 인재를 본격적으로 길러낼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도내 팹리스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를 동시에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안철수 국회의원,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김경수 한국팹리스산업협회장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공식행사 이후 김 지사는 도정자문위원단과 함께 팹리스·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이어가며 “현장에서 답을 찾는 도정”을 강조했다.
이번 팹리스 아카데미 개소는 경기도가 주도하는 반도체 혁신정책의 신호탄으로,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를 향한 첫걸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