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공장 줄폐업·가격 급등… "난방기 교체 없으면 취약계층 올겨울 직격탄"

AI 생성 이미지 / 뉴스티앤티
AI 생성 이미지 / 뉴스티앤티

대한석탄공사가 2025년 6월 공식 폐업하며 70년 가까이 이어온 국내 석탄 산업의 역사가 막을 내렸다. 정부는 이를 '에너지 전환의 상징적 조치'로 평가했지만, 그 여파는 여전히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협하고 있다.

밥상공동체·연탄은행이 발표한 2025년 전국 연탄사용가구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연탄사용가구는 5만9695가구로 집계됐다.

2019년 10만여 가구에서 40% 이상 줄었지만, 여전히 경북 1만9975가구, 강원 1만5841가구 등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연탄에 의존하는 가구가 남아 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노원·개포·방배 일대 달동네에만 1000가구가 넘는 세대가 여전히 연탄을 사용하고 있다.

석탄공사 폐업 이후 정부의 석탄 및 연탄 생산·유통 체계가 해체되면서 민간 연탄공장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

2024~2025년 사이 전국 연탄 제조업체의 절반 이상이 폐업하거나 가동을 중단했고, 물류망 축소로 연탄 한 장의 가격은 900원에서 1300원 이상으로 급등했다. 연탄업계 관계자는 "연탄이 복지물품이 아니라 생존 에너지인데, 이제는 안정적으로 구하기조차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연탄을 사용하는 가구는 감소했지만, 연탄을 끊을 수 없는 가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2025년 현재 연탄사용가구의 절반 이상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이다.

노후주택과 반지하, 무허가주택 등 도시가스 보급이 어려운 지역이 많고, 난방기 교체에는 최소 300만 원 이상이 필요하지만 이를 감당할 여력이 없는 가구가 대부분이다.

정부의 연탄 생산 보조금은 단계적으로 축소돼 2027년 이후 폐지될 예정이며, 이를 대체할 구체적인 에너지복지 대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민간단체의 후원과 봉사로 겨우 유지되는 상황에서, 산업의 종말이 곧 복지의 단절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 필요한 것은 탈석탄이 아니라 탈빈곤이라고 지적한다. 연탄을 끊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연탄 없이도 따뜻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단열공사, 보일러 교체, 전기난방기 지원 등 실질적인 전환 대책이 시급하다.

대한석탄공사의 폐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로 끝나서는 안 된다. 남은 연탄가구 6만 세대는 여전히 대한민국의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

이들이 다시는 연탄에 기대지 않아도 되는 사회로의 전환, 그것이 진정한 에너지 전환의 완성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