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교각이 침하된 대전 유등교의 임시 가설교가 한국산업표준(KS)에 맞지 않는 중고 복공판으로 만들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대전시는 안전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대전 동구) 의원은 지난 11일 "대전시가 임시 가설교 설치 당시 부식이 진행된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위험성 평가나 피로도 시험을 거치지 않았다"며 안전상 문제를 제기했다.
장 의원은 “가설교에 쓰인 중고 복공판은 철계단용 비KS 강재로 제작된 제품으로, 가설교량에 쓰이는 구조용 강재들과는 전혀 다른 용도"라며 “국토교통부의 가설공사 일반사항에 따라 모든 가설공사용 자재는 KS 인증 또는 자율안전확인신고품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사용품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품질검사를 거쳐 시험성적서를 첨부해야 하지만, 시는 품질검사를 생략한 채 공사를 강행했다"며 "공사의 대부분이 완료된 뒤에야 사용 자재가 아닌 별도의 복공판을 보내 품질시험 의뢰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전시는 13일 "가설 교량 복공판은 품질 시험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유등교 가설교는 설계 단계에서 부터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반영했다"며 "이는 재난복구사업의 시급성과 자재 수급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시공과 품질시험을 병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교통부의 표준 시방서 가설공사 일반사항에 따라 중고·비KS 제품도 품질시험에서 적합 판정을 받으면 사용이 가능하다"며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라 3300매의 복공판 가운데 17개에 대한 품질 시험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설교 시공과 안전관리를 위해 관련 법령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용역을 시행해 공사를 추진했다"며 "개통 전 안전점검을 마쳤다"고 덧붙였다.
대전시는 현재 24시간 원격계측으로 상시 관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매년 품질시험과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