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국적 문제에 대한 견해가 자신들과 다르다고 증인출석 요구를 철회하고 퇴장을 시킨 것은 친일 반일 프레임으로 정치적 이득을 얻어보겠다는 얕은 정치적 셈법일 것"..."국민의 위임을 무시하고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무시하는 정당이라면 '그 활동이 민주적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정당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

최재형 전 국회의원(전 감사원장)이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을 퇴장시킨 행태에 대해 일침을 날렸다.
최재형 전 의원은 “국회 환노위의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장에서 야당이 피감기관 책임자인 김문수 장관을 증인 출석요구 철회라는 방법으로 퇴장시켰다”면서 “일제시대 국적 문제에 대한 김문수 장관의 견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였다”며 “국회에 있을 때 야당 의원들이 출석요구를 받은 장관이 부득이한 사유로 차관을 대리출석시키거나 회의중 잠시 자리만 비워도 국민의 대표인 국회를 무시한다고 큰소리 치며 비난하던 모습을 자주 보아왔다”고 운을 뗐다.
최재형 전 의원은 “그런 야당이 피감기관 장관의 견해가 다르다고, 그것도 업무와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일제시대 국적 문제에 대한 견해가 자신들과 다르다고 증인출석 요구를 철회하고 퇴장을 시킨 것은 친일 반일 프레임으로 정치적 이득을 얻어보겠다는 얕은 정치적 셈법일 것이라”면서 “국정감사는 국회의원들이 하고 싶지 않으면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니라”며 “국정감사는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가 정부의 업무수행에 대해 점검하고 더 나은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그를 위해 해당 부서 장관으로부터 책임 있는 답변을 들어야 하는 헌법이 국회에 부여한 책무라”고 주장했다.
최재형 의원은 끝으로 “피감기관 책임자인 장관의 해당 기관 업무와는 전혀 관계없는 사안에 대한 견해가 자신들과 다르다고 국정감사의 가장 중요한 증인으로 책임 있는 답변을 해야 할 장관을 국정감사에 참여하지도 못하도록 퇴장시키는 것은 국정감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을 점검하라는 국민의 위임에 반하는 국민에 대한 배임행위라”면서 “그뿐만 아니라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과는 대화도 하지 않겠다는 야당의 태도는 대화와 토론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의 조율하며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 내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 없다”며 “국민의 위임을 무시하고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무시하는 정당이라면 ‘그 활동이 민주적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정당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6.25 전쟁 당시 최초의 해전이었던 대한해협 해전을 승리로 이끌며 ‘해군의 백선엽’으로 명성을 떨친 故 최영섭 예비역 해군 대령의 아들인 최재형 전 의원은 고등학교 시절 소아마비를 앓던 친구를 2년동안 업고 같이 등하교를 시키는 등의 수많은 미담제조기로 유명하며, 지난 2022년 20대 대선과 동시에 치러진 서울 종로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여의도에 입성했으나, 지난 22대 총선에서 아쉽게 惜敗(석패)하며 재선 문턱을 넘지 못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