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년 노력 드디어 결실...국가보훈처의 部(부) 격상 담은 정부조직법 27일 국회 본회의 통과
김영삼 정부 청와대 행정관 근무부터 지금까지 국가보훈부 격상 및 대통령실 내 국가보훈비서관·행정관 신설 필요 제기
"部(부) 승격 이후에도 보훈대상자에게 실질적인 예우와 정부 차원의 배려 및 지원이 확대되도록 노력할 것" 역설

국민의힘 이명수(4선, 충남 아산) 의원은 27일 개최된 국회 본회의에서 국가보훈처의 部(부) 격상과 재외동포청 신설을 담은 정부조직법 일부개정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명수 의원은 국가보훈처의 部(부) 격상을 위해 법안 대표 발의 및 통과를 위해 30여 년간 앞장서왔다.
이명수 의원은 “김영삼 정부 청와대 행정관 근무 시절부터 국가보훈처의 부 격상과 국가보훈비서관·행정관 신설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면서 “국가보훈행정관 신설만 성공하고 국회의원이 된 뒤로 18대 국회부터 21대 국회 지금까지 국가보훈부 승격 관련 법안을 꾸준히 발의해 왔는데, 윤석열 정부 들어 이제야 그 노력이 마무리됐다”는 소회를 전했다.
국가보훈처의 조직 격상 과정을 보면, 청와대의 국가보훈행정관 신설·국가보훈처 처장의 장관급 격상·국가보훈처의 部(부) 격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 모든 과정에서 이명수 의원의 꾸준한 노력과 최선을 다한 의정활동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지난 2022년 10월 정부가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방안’에 담긴 국가보훈처의 部(부) 단위 격상·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청 신설 등의 개정 내용이 4개월 만에 통과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
이명수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약속이 지켜진 것에 대해 감사드리고, 국가보훈부 승격에 따라 순국선열 및 유공자를 비롯한 약 84만 명의 보훈대상자들의 격 또한 한층 높아지길 기대한다”면서 “국가보훈부로 승격된 이후에도 보훈대상자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예우와 관심·배려 및 지원이 더욱 강화되고, 폭넓은 행정 구현을 통해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잘못된 부분은 과감히 개선하는 부처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변함없이 대한민국 보훈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와 포부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