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와 관련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장우 시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대전경찰청, 상공회의소, 건설 및 주유소협회 등 8개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해 화물연대 운송거부에 따른 피해현황 및 대응계획과 발생 가능한 산업피해, 대체운송수단 등을 전반적으로 논의했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시는 시멘트 분야 현장조사 결과 화물운송 위반사항이 없어 업무개시명령을 미발령된 상태이나 관내소재 7개 주유소가 유류 수송차량 운행감소로 인해 휘발유가 품절되어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대책도 점검했다.
이장우 시장은 “운송거부에 따른 사업현장의 피해는 물론 주유소 유류 품절로 일상생활에서도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으로, 철저한 동향 파악 및 현장관리와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정부 방침과 연계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정유차기사들의 파업 동참이 장기화될 경우 당장 겨울철 난방유 공급과 농수산물 등 신성 식품 운송 차질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물류와 운송은 우리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동력임을 명심하고 운송거부를 철회해달라”고 했다.
오는 6일 예정된 민노총의 총파업과 관련해 “정부방침과 연계해 시에서도 상황을 세밀하게 관리해 시민 불편이 가중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하고,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 공직자 기강확립에도 철저를 기하라”고 지시했다.
윤소식 경찰청장은 “현장의 신속한 대응 및 지원을 위해 가용경찰력을 최대 동원하는 총력대응체계를 구축하고, 112신고시 운송차량 보호를 위한 순찰자 및 화물차 운송보호 기동팀이 운용 중”이라며 “운송에 따른 협박, 폭행, 보복행위 등 불법사항을 신고하면 경찰청 내 전담수사팀을 구성·운영 중에 있으니 안심하고 화물운송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지난 11월 28일 정부의 위기 경보 수준인 심각 단계에 맞춰 화물연대 운송 거부 관련 5개 실무반을 편성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있다.
파업으로 인한 비상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운송거부에 따른 시민들 피해 발생 최소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