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의 낮은 취업률과 높은 실업률·낮은 소득수준과 높은 빈곤율 보여
북한 생활·생사 넘나드는 탈북 과정 등 육체적·정신적 상태 크게 약화되어 있는 상황
"북한이탈주민의 다양한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제적·정신건강 측면에서 미흡. 경제적 지원의 재설정 및 재구조화를 통한 효과성 제고 필요" 강조

국민의힘 이명수 의원은 지난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국정감사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원정책에 대한 재설정 및 재구조화를 통해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뉴스티앤티 DB
국민의힘 이명수 의원은 지난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국정감사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원정책에 대한 재설정 및 재구조화를 통해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뉴스티앤티 DB

국민의힘 이명수(4선, 충남 아산갑) 의원은 지난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이하 재단) 국정감사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원정책에 대한 재설정 및 재구조화를 통해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최근 10년간 재월북 탈북민들은 총 31명으로, 여전히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이 어렵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면서 “재단에서 실시한 ‘북한이탈주민 지원사업 평가와 개선방향’ 연구용역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국민이나 결혼이민자에 비해 북한이탈주민들의 고용여건과 소득수준·건강상태 등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어 “현재 북한이탈주민들의 단기간 직업훈련 등으로는 단기간·임시직·저임금으로 인한 불안정한 일자리들뿐이다. 낮은 취업률과 높은 실업률·낮은 소득과 높은 빈곤율을 보이며 경제적 자립 향상이 필요해 보인다”면서 “특화된 직업 훈련 및 취·창업 촉진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특히 탈북 여성의 취업 촉진을 위해 육아 문제 해소 등 보완 대책을 동시에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또한 이 의원은 “북한에서의 생활과 생사를 넘나드는 탈북 과정, 탈북 이후 남한 생활의 어려움·가족과의 생이별 등으로 육체적·정신적 상태가 크게 약화되어 있는 상태이라”면서 “재단의 심리상담 및 치료비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심리적 정책이 충분하다고 보기 곤란하다”며 “재단 주도적으로 지역연계형 정서적·심리적 치료프로그램 확충 등 수요자 중심 정책 추가가 시급해 보인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끝으로 “특히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상당 부분 정착금의 지원, 심리치료비 지급 등 경제적 차원에 많은 자원을 할애해 왔다”면서 “지금부터라도 경제적 지원의 재설정 및 재구조화를 통한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북한이탈주민 3만명 시대에 재단의 새로운 의지와 비전 구축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재단에서 실시한 ‘2021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강상태 자기평가’에서 일반 국민 대비 ‘좋음’은 15.8%p 낮게 나타났으며 ‘나쁨’은 18.3%p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일상 생활 스트레스 부문에서는 일반 국민 대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가 57.9%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명수 의원 제공
이명수 의원 제공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