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지역 유망기업의 자금 접근성 제고와 성장 지원을 위해 전국 최초로 기업 투자를 위한 펀드와 저금리 여신을 아우르는 공공형 복합 금융기관 ’대전투자청‘(가칭) 설립을 추진한다.
이장우 시장은 10일 시정브리핑을 통해 “지역 유망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윤석열 대통령 공약인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은행 설립’의 추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징검다리 역할을 할 대전투자청을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전투자청은 여신금융전문업법 상의 신기술금융회사, 상법상 주식회사 형태로 추진된다. 신기술금융회사란 신기술을 사업화한 중소기업에 투자 또는 융자를 해주는 금융회사를 말하며 200억원 이상 자본금과 소관 부처인 금융위원회 등록을 요건으로 한다.
시는 선제적으로 500억원의 공적자금을 출자한다. 시 출자금은 일반회계 예산 투입 없이 기존 펀드 회수금과 중소기업 육성기금 일부 활용해 1000억 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매개로 시민들과 중견기업, 경제단체, 금융기관 등 민간자금을 추가로 조달해 내년 개청시까지 700억원의 설립 자본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대전투자청은 지역 중소기업의 새로운 자금원으로 시중은행과 민간투자회사가 꺼리는 적극적인 모험자본 투자와 저금리 여신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기업금융 중심은행 설립 전까지 5000억원 이상 규모의 공공펀드를 결성해 최소 60%를 나노반도체·바이오·우주·방산 등 대전 주력 산업 분야 기업에 투자하고, 기술력은 우수하나 담보능력이 약한 기업을 위해 약 400억 원 규모로 정부 공적 자금 대출 금리(약 3% 내외) 수준의 여신을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이달월 중 세부 설립계획을 마련한 후 내년 상반기 금융위원회 등록 및 설립을 마치고, 향후 기업금융 중심은행 설립 시 법인 흡수를 통해 통합 운영할 방침이다.
이 시장은 “일류경제도시 대전 구현을 위해서는 500만평 이상 대규모 산업용지 공급과 함께 기업금융 중심은행을 양대 축으로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대전투자청 설립은 기업금융 중심은행의 전 단계로서 우리 스스로 지역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