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이라면 시민 공감하는 '정도(正道)행정' 구현해야

김강중 편집국장
김강중 편집국장

나흘 뒤 도쿄올림픽이 열린다. 올림픽과 휴가철이 끝나면 선거철이다.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가 그것이다.
요즘 내세울 것 하나 없는 단체장, 시의원들이 분주하다.

열 달 남짓 6.3지방선거를 앞둔 탓이다.
이곳저곳에서 안부를 묻는 전화도 종종 걸려 온다. 다시 표심(票心)을 계산했음이다.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맛을 안다'고 했던가. 연임과 3선의 '완장'이 아른거릴 것이다.
허깨비와 헛꽃 같은 것이 권력이라 했다. 그래도 오욕(五慾) 중 하나이니 어쩔 수 없는가 보다.

어쨌든 이들은 취임 3주년을 맞아 자찬이 무성하다. 임기말 마무리 보다 마음은 '콩밭'이다.
공염불로 끝난 공약은 코로나19, 경기침체 때문이라고 눙친다. 이 두 가지가 악재라는 변명이다.

여당 출신 대전시장, 구청장의 공약은 하나같이 거창했다. 대전 국회의원도 전석(7명)을 여당이 석권했다.
일사불란한 진용을 갖추었다. 이들은 우리 지역에 무엇을 남겼을까. 모두 지난 '대선'에 공(功)이 컷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공천을 위해 줄을 대고 옵션을 맺는다. 밀고 당겨주는 그런 식이다. 선거 때면 중앙당 조직의 지원을 받는다.
그런 뒤 총선과 대선 때 그 빚을 되갚는 '악어와 악어새'의 공생이다.

상향식 공천과 선택의 여지가 없는 양당구조이니 어쩔 도리가 없다.
언제나 최상 보다 차악(次惡)을 뽑는 선거였다. 도긴개긴 정치판은 여전하다. 

누구는 운(運)도 실력이라지만 권세(權勢)와 시세(時勢)가 좋았다.
운(運))이 좋아 당선이 된 단체장과 국회의원들이다. 줍다시피 한 권력이니 공천자에 대한 감은이 컷을 것이다.

그 빚이 시민에게 있거늘 '그들만의 거래'를 보자니 쯤은 역겹다.
이제는 노여움보다는 이들을 냉정하게 심판하는 일이 더 중요한 일이다.  

대전은 사람과 기차, 기업과 기관이 떠나고 있다. 세종시 블랙홀로 역동성은 잃은 지 오래다.
오죽하면 '노잼 대전시'라고 놀림을 당할까.

대전의 위기가 아닐 수 없다. 반전과 혁신이 절실한 대전시다.
혜안과 리더십을 겸비한 장(長)을 보기가 이토록 어려운 일인가. 

모든 선거가 그렇듯 선출직도 하나의 통과의례다. 리더십과 진정성을 4년 내내 검증받는 자리이다.  
선거에서 이기면 인사, 예산을 독점한다. 인사, 예산을 떡 주무르듯 하다보면 초념을 잃기가 십상이다.

임기 말이면 선거캠프 참모와 업자들의 달콤한 유혹에 놀아나는 이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렇게 자신도 모르게 '완장'에 중독된다. 완장의 중독은 시정을 위태롭게 만든다.

사욕을 버리고 선공(先公)한 단체장을 본 기억이 없다. 
권력을 거머쥐면 하나같이 주민 의견을 무시하고 홀대하기 일쑤다.
그러면서 각종 위원회를 만들어 '그들만의 보은인사'가 횡행했다.

그렇게 진용을 갖추면 이권 챙기기에 나선다. 그러다 탄력이 붙으면 과감한 인.허가 개입을 주저치 않는다.
그들은 권력의 사유화로 지탄을 받지만 관계치 않는다. 심각한 것은 시민들에게 집단적으로 행사되는 '권력 감정'이다.

그들을 위해 행사하는 권력이거늘 시민을 위해 행사하는 것이라고 정당화 한다. 
되레 시민들에게 희망보다는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 비전과 공감없는 포장된 권력때문이다.

이쯤에서 지난 3년을 목도한 그들의 행정을 짚어 보자.
이해의 폭을 넓혀도 집행부는 본분에 충실했다고 볼 수 없다.
의회도 예산집행의 감시, 인사 검증은 개탄스럽다. 

특정 단체장의 직무수행능력, 청렴도는 임기 내내 드러났다.
그러니 논외로 하자. 의회의 직무유기도 일단 접어두자.

문제는 지난 3년에 대한 성찰이 없다는 것이다. 성찰이 없는 건, 민선 8기에도 달라질게 없다는 말과 같다.
민생 전문가를 자처한 어느 후보는 대전을 4차산업특별시로 공약했다. 그 공약은 누가 봐도 공약(空約)으로 끝났다.

앞서 식언한 대통령도 어엿하다. 그러니 이행여부를 따짐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4년 전 '장미대선' 당시 유력 세 명의 후보는 대전시 공약으로 과학도시와 원도심 활성화를 꼽았다.

당선된 문 대통령은 대전 4차산업특별시를 위해 미래융복합산단(産團)을 약속했다.
유성 대동.금탄동에 스마트 융복합산단을 공약했다.

또 대전의료원 건립도 약속했다.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에 2000억 원을 들여 중부권 원자력의학원 건립도 공약했다.

4년이 지난 오늘, 대전의료원만 어렵사리 성사됐다.
그것도 코로나19로 마지못한 결정이다. 나머지는 '허언의 성찬'으로 끝났다.

내년 대선에는 '대전 과학도시'란 약(藥)을 또다시 팔 것이다.
약발은커녕 이렇게 변죽만 올리며 대전을 우려먹었다.

한 번의 실수는 상대방에게 현혹돼 일어난 일이다.
그러나 반복된 실수는 내 자신이 방심해서 빚어진 일이다.
그러니 오롯이 자신의 책임이고 대전시민이 감당할 몫이다   

내달 개점하는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층수만 높다는 이유로 '대전의 랜드 마크'라며 호들갑이다. 

공모 당시 외관이 미려했던 사이언스 콤플렉스를 누가 삐딱하게 찌그려 놓았는지 대전시는 해명해야 한다.
교착의 유성복합터미널도 또한 그러하다. 최근 공모에서 탈락한 K바이오 랩은 말할 나위도 없다.

민선 8기에는 단체장도 시민도 함께 공감하는 정치를 기대한다.
그것이 소통이고 연임, 3선으로 가는 길이다.

키워드

#김강중칼럼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