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마도 해역서 조선시대 '마도4호선' 인양…고려 '마도5호선' 흔적도 발견

'바닷속의 경주'로 불리는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시대 선박이 600여 년 만에 물 밖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인양 과정에서는 이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고려시대 난파선의 흔적까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태안 마도 해역에서 진행한 조선시대 조운선(세곡 운반선)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0일 밝혔다.
마도4호선은 2015년 발견된 조선 전기 선박으로, 1420년경 전라도 나주에서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으로 향하다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인양은 발견 10주년을 맞아 이뤄졌으며, 그동안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선박만 발굴됐던 국내 수중고고학사에서 처음으로 조선시대 선박의 실물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인양된 마도4호선은 기존 고려 선박과는 다른 조선 전기 선박의 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고려 선박이 돛대 하나만 사용한 것과 달리, 마도4호선은 배의 앞과 중앙에 각각 돛대를 설치한 '쌍돛대' 구조로 항해 속도와 조정 능력을 높였다. 또한 선체 수리에 나무못 대신 쇠못을 사용한 흔적이 국내 고선박 중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편, 연구소는 마도4호선 인양 중 음파탐사를 통해 인근 해역에서 또 다른 고선박의 흔적을 발견했다. 잠수 조사를 통해 12세기 중반(1150~1175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청자 87점과 닻, 볍씨 등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에 발견된 마도 1·2·3호선보다도 시기가 앞서는 것으로, '마도5호선'으로 명명될 경우 이 해역에서 가장 오래된 난파선이 될 가능성이 높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우리나라 수중발굴 50주년이 되는 2026년에 '마도5호선'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에 착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