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GDP 1.2% 성장에도 소비심리지수 하락, 고소득층 중심 소비 회복 한계

AI 생성 이미지 / 뉴스티앤티
AI 생성 이미지 / 뉴스티앤티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성장하며 한국경제가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속보치에 따르면 민간 소비가 1%대 증가하며 내수 회복 흐름을 이끌었고, 반도체 중심의 수출 증가도 성장률 상승에 기여했다. 정부는 “민간 소비가 살아나며 경기 회복의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지표의 회복과 국민의 체감 사이에는 여전히 간극이 크다. 같은 기간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1로, 두 달 연속 하락했다. 경기판단지수와 향후전망지수 모두 하락하면서 국민이 실제로 느끼는 경기 분위기는 여전히 부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괴리가 ‘소득 편중’ 구조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카드사 결제 통계에 따르면 상위 소득층의 소비지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지만, 중하위층은 오히려 감소세로 돌아섰다. 생활필수품 지출이 늘어난 반면, 외식·여행 등 선택적 소비는 줄었다. 통계상 소비 총량이 증가한 것은 고소득층 소비의 확대로 인한 ‘통계적 착시’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역별 소비 흐름도 수도권 중심으로 회복세가 뚜렷하다. 대형 상권과 온라인 소비가 활발한 서울·경기권의 매출은 늘어난 반면, 지방권은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 간 경기 온도차가 확대되면서 ‘지표는 반등했지만 체감은 다르다’는 평가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3분기 소비 증가에는 정부의 한시적 소비진작책도 영향을 미쳤다. 코리아세일페스타, 지역상품권, 소비쿠폰 등 정책성 소비 확대가 일시적으로 매출을 끌어올렸지만, 행사가 종료된 이후 다시 소비가 줄어드는 현상이 반복됐다. 경제 전문가들은 “단기 이벤트 중심의 소비 진작은 일시적 상승효과에 그치기 쉽다”며 “소득 기반이 강화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소비 확대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실질소득 정체와 물가 부담도 여전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가계 실질소득은 전년 대비 0.5% 증가에 그쳤고, 소비자물가는 여전히 3%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가계부채는 1900조 원을 넘어섰다. 금리 부담과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이어지면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은 오히려 줄어드는 양상이다.

정부는 경기 반등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민생 체감의 회복은 아직 요원하다는 지적이 많다. 경제분석가들은 “거시지표의 개선이 국민 개개인의 생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소득 증대, 부채 경감, 지역균형 소비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며 “단기 성장률보다 생활경제 안정이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결국 한국경제의 과제는 ‘숫자 회복’을 넘어 ‘체감 회복’으로 향하고 있다. 지표의 상승이 국민의 삶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경기 반등은 의미를 갖는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