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기반 데이터·시뮬레이션으로 다중운집 안전관리 표준화…행안부 법 개정으로 민간 적용 범위 확대

세종대학교 건축학과 김영욱 교수(한국스페이스신택스 연구소)팀이 개발한 인파 흐름 분석·위험예측 기술이 서울시 16개 자치구의 다중운집 예방 용역을 거쳐 표준 기술과 가이드라인으로 정리되며, 최근 행정안전부의 관련 법 개정에 정책적 토대를 제공했다.
김 교수팀은 CCTV·라이다·통신 데이터 등을 결합한 현장 기반 인파 데이터 수집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해 도시 공간 내 인파 흐름을 정밀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실내외를 망라한 인파 관리 기술과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서울시가 사전 위험지역 식별 및 대응 체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 성과는 행안부의 제도 개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행정안전부는 2025년 10월 2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관련 조항을 개정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업에 매년 다중운집 실태조사를 의무화하고, 조사 항목에 일시·장소, 순간 최대인원·총인원, 공간 수용능력, 인파 밀집도·유동시간 등을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김 교수팀의 기술은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다중운집 시설의 안전관리와 실태조사에 폭넓게 적용될 전망이다.
김 교수는 “인파 사고는 사전 예측과 예방이 핵심”이라며 “데이터 기반 위험 예측 기술은 실시간 안전관리 강화와 다중인파 시설의 의무조사를 실효성 있게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각 구별 맞춤형 안전대책과 훈련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성영희 기자
heesy0508@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