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P70, 3세대 EGFR‑TKI 내성 비소세포폐암 포함 다종 암종서 항암효능 확인…CT‑P71은 파드셉과 동등 수준 효과·내성 모델서도 활성 유지

셀트리온은 11월 3~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World ADC 2025’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파이프라인 CT‑P70과 CT‑P71의 확장된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처음 공개했다고 밝혔다.

행사 현장에서는 두 후보의 광범위한 항암 효능이 주목을 받았다.

세계적 ADC 콘퍼런스인 월드 ADC에는 전 세계 약 1,400여 명의 전문가가 모였으며, 셀트리온은 행사 사흘째인 5일 오전 자체 개발 중인 CT‑P70·CT‑P71의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CT‑P70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3세대 티로신키나제억제제(3세대 EGFR‑TKI) 내성 모델을 포함해 세포 생존율 감소와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대장암·위암 등 여러 고형암 종에서도 항암 활성을 유지해, 3세대 EGFR‑TKI 내성 NSCLC를 포함한 폭넓은 적응증에서 임상 전 단계의 잠재력을 확인했다. CT‑P70의 표적은 cMET(세포성장인자 수용체)다.

CT‑P71은 넥틴‑4 표적 ADC로서 요로상피암·유방암·전립선암 모델에서 이미 허가된 ADC 치료제 파드셉(엔포투맙 베도틴)과 동등 수준의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약물 탑재체의 안전성 여건을 고려할 때 더 높은 투여량으로 효능을 끌어올릴 여지도 있으며, 파드셉 내성·불응 모델에서도 활성을 유지해 ‘포스트 파드셉’ 치료 옵션 가능성을 제시했다.

두 후보 모두 미국 FDA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임상 1상 IND 승인을 받아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이며, 셀트리온은 비임상에서 확인된 효능을 바탕으로 후속 임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보해 ‘베스트 인 클래스(Best‑in‑Class)’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무대에서 두 ADC 후보의 경쟁력을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임상 단계에서도 우수한 결과로 이어지도록 연구개발과 임상 설계를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월드 ADC 발표는 셀트리온의 ADC 포트폴리오가 다양한 고형암과 기존 치료제 내성 문제에 대응할 잠재력을 갖췄다는 점을 보여줬다. 향후 임상 결과가 확인되면 글로벌 ADC 시장에서의 위상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