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2 고발현 종양에 특이적 효능·우수한 안전성 확인…연내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예정

셀트리온은 5일 미국 메릴랜드에서 열린 세계 최대 면역항암 학술대회 ‘SITC 2025’에서 다중항체 면역항암제 CT-P72/ABP-102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HER2 고발현 종양에 대한 높은 항종양 효과와 영장류 독성시험에서의 우수한 안전성을 보여 학회에 제출된 1,300여 초록 중 ‘TOP 150’에 선정됐다.

CT-P72/ABP-102는 셀트리온과 미국 에이비프로(Abpro)가 공동 개발 중인 T세포 인게이저(TCE) 방식의 다중항체 신약이다.

전임상에서 연구진은 HER2 고발현·저발현 세포주를 동시에 이식한 이중 이식(dual xenograft) 마우스 모델에서 HER2 고발현 종양에 특이적인 강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엔허투(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에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 모델에서도 유의미한 종양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 기존 치료에 실패한 환자군에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안전성 평가에서는 영장류 독성시험에서 고용량(80mg/kg)까지 특별한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전반적인 안전성이 입증됐다.

회사 측은 CT-P72/ABP-102의 구조적 설계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약물은 HER2 저발현 정상세포와의 결합력을 낮추고, HER2 고발현 암세포에는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조절됐다.

또한 T세포 표면의 CD3에 대한 결합력도 최적화해 과도한 T세포 활성으로 인한 독성을 구조적으로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설계로 치료 유효 용량과 독성 용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TI)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베스트 인 클래스(Best-in-Class)’ 개발 가능성을 제기했다.

셀트리온은 전임상 결과를 토대로 연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하고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전임상에서 입증된 유효성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임상 단계에서도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신약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CT-P72/ABP-102는 표적 선택성 개선을 통해 TCE 계열의 주요 한계인 정상세포 표적화에 따른 독성을 낮춘 점이 주목된다.

다만 사람 대상 임상에서의 효능 재현성, 면역 관련 이상반응 관리, 제조·품질 확보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연내 IND 제출 후 초기 임상 결과가 향후 개발 방향을 가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