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랭식 한계 극복 위해 2026년 초부터 AI 연구실 서버에 액침냉각 도입·테스트…소규모 연구소·스마트팩토리 적용 가능성 검증

HD현대오일뱅크는 26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침지냉각 시스템 운영업체 데이터빈과 함께 ‘인공지능 인프라 액침냉각 실증 프로젝트’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공랭식 운영으로 인한 팬 소음과 내부 고온 문제를 개선하고, AI 연구 확산에 따른 냉각 효율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는 2026년 초부터 서울대 AI 연구실의 기존 공랭식 서버를 액침냉각 방식으로 전환해 현장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서울대는 실증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공간과 GPU 서버를 제공하고, HD현대오일뱅크는 액침냉각액 공급과 기술 자문·유지보수를 담당한다. 데이터빈은 침지냉각 시스템 ‘SmartBox’를 설치하고 운영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역할을 맡는다.

액침냉각은 서버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비전도성 액체에 담가 직접 열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발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서버와 냉각액의 호환성 등 현장 안정성 검증이 필요해 실제 연구실 환경에서 테스트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실증을 통해 HD현대오일뱅크는 국내 AI 연구소 환경에서 액침냉각 기술의 안정성을 본격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회사 측은 “이번 실증으로 연구소나 스마트팩토리 등 소규모 서버 환경에서도 액침냉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것”이라며 “성공 시 실증 범위를 확대해 대형 데이터센터로의 진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HD현대오일뱅크는 2024년 ‘엑스티어 E-쿨링 플루이드’ 브랜드를 출원했으며, 2025년 네이버클라우드에 액침냉각액을 공급하는 등 시장 확대를 추진해왔다.

이번 협력은 AI 연구 생산성 개선과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실제 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안정성·효율성 검증 결과는 향후 국내 도입 확산과 관련 규제·표준 마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