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보행사고 분석서 덤프 등 대형차 사고 빈도·심도 높아…우측 사각지대 승용차보다 평균 3m 이상 넓어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6일 ‘대형차량 사각지대 안전장치 필요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2020~2024년 경찰청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형 화물차의 보행자 사고 빈도와 치사율이 승용차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등록대수 1만대당 사상자수는 승용차 6.9명인 반면 승합차 10.8명, 화물차 8.7명, 덤프 등 대형건설기계는 38.6명으로 대형 차량일수록 사상자수가 높았다.
보행 교통사고 치사율은 사고 100건당 승용차 2.5명, 화물차 5.3명, 덤프 등 15.8명으로 집계돼 승용차 대비 2~6배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우회전 상황의 치사율은 덤프 등에서 22.0명(100건당)으로, 승용차의 0.8명에 비해 약 27배 높게 나타났다.
사각지대 직접 측정에서도 대형 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는 승용차(약 4.95m) 대비 평균 8.17m로 약 3m 이상 더 넓었다.
어린이(측정 높이 120cm) 관점에서는 대형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 평균이 3.21m였고, 연구소는 성인은 최소 3m, 어린이는 최소 5m 이상 떨어져야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온다고 지적했다. 15톤급 이상 차량의 경우 172cm 높이의 측정자조차 2m 이내에서 보이지 않는 사례도 있었다.
대형차의 높은 운전자 눈높이(평균 2.5m)와 불투명한 조수석 도어패널이 사각지대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연구소는 유럽과 일본 등에서 추진 중인 낮은 캐빈, 도어 하단 창문 확대, 우측·전방 사각지대 경고장치(BSIS·MOIS 등) 의무화 사례를 소개하며 국내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박요한 수석연구원은 “대형 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가 승용차보다 3m 이상 길어 사고 발생 빈도가 높고, 사고 발생 시 치사율이 매우 높다”며 “캐빈 높이 하향·조수석 하단 창문 적용 같은 직접 시계 개선과 우측·전방을 감지하는 첨단장치 장착 등 사각지대 최소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특히 덤프트럭 등 우회전 사고 취약 차종에도 예방 장치 보급을 촉구했다.
이번 연구는 대형차의 설계·제조 기준과 운행 규제, 보조장치 의무화 등 기술적·제도적 개선을 통해 보행자 안전을 확보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