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IFA 공개 제품 국내 첫선…스마트싱스 기반 AI 가전으로 입주 즉시 스마트 주거 구현

삼성전자가 5~7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AI 홈 기반의 모듈러 홈 솔루션을 공동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모듈러 건축에 최적화된 스마트싱스 통합 플랫폼을 통해 입주자가 로그인만으로 스마트·안전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점을 강조한다.
국토교통부 주최로 열리는 이번 엑스포에는 250여 개 업체가 참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IFA 2025에서 처음 공개한 모듈러 홈 솔루션을 국내에 소개하며 모듈러 사업의 국내외 확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전시 공간은 51㎡ 규모로 1인·2인 가구를 겨냥한 현관·주방·거실·침실·세탁실 등 5개 공간으로 구성됐다.
솔루션은 AI 가전과 센서·조명·도어락 등 IoT 기기, 냉난방·환기·에너지 시스템을 스마트싱스로 통합해 실내 환경 최적화와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방범·안전 기능은 스마트 도어락·도어벨과 연동돼 출입 관리와 비상 알림을 제공하며, 주방에서는 냉장고의 ‘데일리 보드’, ‘AI 비전 인사이드’, ‘오토 오픈 도어’ 등 맞춤형 편의 기능을 선보인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4도어 키친핏 맥스 냉장고, 비스포크 AI 인덕션, 비스포크 AI 콤보 등 차별화된 가전들도 전시돼 방문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연기나 누수 감지 시 가전과 연동된 자동 대응 시나리오로 경고 알림과 환기·후드 작동이 이루어지는 등 안전성도 강조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오주현 공공주택본부장은 “모듈러 주택 시장을 선도하는 LH와 AI 가전 업계를 이끄는 삼성전자의 협업으로 미래 주거 모델을 제시한다”고 밝혔고, 삼성전자 사업부 책임자는 “사용자 중심의 혁신으로 차세대 주거 환경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모듈러 건축과 스마트홈의 결합은 빠른 주택 공급과 고품질 주거 경험을 동시에 겨냥한다. 향후 상용화와 보급 속도, 표준화와 보안 문제 해결이 상용화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