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보조 플라즈모닉 ‘나노코랄’과 SERS·AI 결합해 환자·정상 구분 정확도 98% 기록…Advanced Science 논문 게재

(왼쪽부터) 한국재료연구원 서효정 연구원(제1저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준욱 교수(교신저자),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정호상 교수(교신저자)
(왼쪽부터) 한국재료연구원 서효정 연구원(제1저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준욱 교수(교신저자),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정호상 교수(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정호상 교수팀과 가톨릭대학교 박준욱 교수팀, 한국재료연구원 공동연구진이 침 한 방울로 두경부암을 고감도로 진단하는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0월 7일 밝혔다(Advanced Science 온라인 게재).

두경부암은 초기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운 암종으로, 연구진은 비침습적 진단 필요성에 주목해 침 속 대사물질을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표면증강 라만산란(SERS) 기반 장비에 그래핀을 활용한 ‘플라즈모닉 나노코랄’ 구조를 적용해 빛 신호를 증폭하고 침 속 휘발성 대사물질을 효과적으로 집적·검출했다.

여기에 혼재된 신호를 분리·해석하는 인공지능 기법을 결합해 질병 관련 바이오마커 15종을 도출했다.

개발한 플랫폼을 이용해 두경부암 환자와 정상인 총 50명의 침 시료를 분석한 결과 환자군과 정상군을 98% 정확도로 구분했다.

연구진은 이 성과를 바탕으로 수술·절개 없이 현장에서 신속히 검사할 수 있는 ‘현장형(Point-of-Care)’ 진단 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호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침 속 대사 변화를 이용한 비침습적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보여준 세계 최초 수준의 현장형 플랫폼”이라며 “향후 다양한 질환의 조기 진단과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을 이용한 두경부암 진단 개념도
을 이용한 두경부암 진단 개념도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다수의 국가 연구지원 사업과 한국재료연구원의 협력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 전문은 Advanced Science 논문(SERS-AI-LUA-Driven Salivary Diagnosis of Head and Neck Cancer Using Graphene-Assisted Plasmonic Nanocorals, DOI: 10.1002/advs.2025177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