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제359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 진행... 344억원 투입한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9년째 방치...활성화 대책방안 마련 당부...연육교·당진항 고대부두·아산신항 등 충남도의 적극적인 대응 전략 수립 필요..."항만산업은 충남의 백년대계를 위한 중요 사항" 강조

충남도의회는 지난 11일 국민의힘 이해선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충남도 항만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활성화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는 지난 11일 국민의힘 이해선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충남도 항만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활성화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의장 홍성현)는 지난 11일 국민의힘 이해선(초선, 당진2) 의원이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충남도 항만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활성화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충남도에는 당진항·대산항·태안항·보령항·장항항 등의 무역항이 있는데,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당진항(5위)·대산항(6위)·보령항(10위)·태안항(14위) 등 4개 항만의 물동량은 전국 물동량의 15.4%에 달한다.

이해선 의원은 “항만은 바다를 통해 세계로 연결되는 해양물류 인프라로서 글로벌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반 시설이라”면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막대하므로 전략적으로 육성해 가야 할 산업이라”고 설명했다.

이해선 의원은 이어 “다만, 대부분의 항만 정책 권한이 중앙부처에 있어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는 한계는 있다”면서 “하지만, 충남형 항만 정책을 개발해 중앙에 반영시키는 것은 충남도의 몫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해선 의원은 충남 도내 항만시설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 9년째 방치되고 있는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 신평-내항간 연육교 건설에 따른 대응전략 부재 ▲ 당진항 고대부두의 낮은 활용도 ▲ 아산신항 건설 계획 등을 꼬집었다.

아울러 이해선 의원은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의 경우 “2016년 344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건립했음에도 취항조차 못 하고 있다”면서 “중국과의 최단거리 노선으로 지리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방치되고 있다”며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해선 의원은 연육교 건설과 관련하여 “연육교가 완성되면 20선석이 넘는 항만 접근성이 개선돼 관련 사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그럼에도 충남도와 당진시 모두 연육교 건설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에 관심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해선 의원은 당진항 고대부두 활성화와 관련하여 “전반이 넘는 부두가 기업 전용인데 물동량 처리 실적이 36% 내외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운영사와의 적극적인 협의와 제도 개선으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뿐만 아니라 이해선 의원은 아산신항 건설에 대해 “낮은 수심·항로 문제·막대한 건설비용 등 여러 제약요인이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면서 “오히려 친수공간이나 항만 배후단지·물류 지원시설로 개발하는 것이 현실적이고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이해선 의원은 끝으로 “항만산업은 충남의 백년대계를 위한 중요 사항이라”면서 “충남도가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을 이끄는 항만 선진 지자체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와 관계기관이 적극 협력하고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