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 진행..."벼 재배면적 감축 정책, 벼농사 중심 지역 현실 외면한 농민 희생만 강요"..."충남형 직불금제 도입으로 농가소득 손실 보전해야" 강조

충남도의회는 8일 더불어민주당 이정우 의원이 제35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벼농사 중심의 지역 현실을 외면한 졸속행정의 극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는 8일 더불어민주당 이정우 의원이 제35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벼농사 중심의 지역 현실을 외면한 졸속행정의 극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밝혔다. /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의장 홍성현)는 8일 더불어민주당 이정우(재선, 청양) 의원이 제35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벼농사 중심의 지역 현실을 외면한 졸속행정의 극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밝혔다.

이정우 의원은 “쌀 소비가 줄어드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면서 “쌀 소비를 진작하는 대책 없이 생산량 감축만 강조하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농업 포기 정책이나 다름 없다”고 지적했다.

이정우 의원은 이어 “벼 재배면적의 감축은 농가소득 감소뿐 아니라 철새 서식지와 탄소 흡수 기능 등 논의 생태적 역할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탄소 배출 증가와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의 후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이정우 의원은 “현재 정부가 제시한 대체작물 재배에 대한 직불금 수준이 지나치게 낮다”고 지적한 후 “고품질 쌀 생산을 통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줄이되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가의 소득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충남형 직불금제’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정우 의원은 끝으로 “농민이 정책 실험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현장의 목소리와 현실을 반영한 공감 기반의 정책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