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국산 로봇착유기를 처음 보급하며, ‘디지털 낙농’ 기반 확보에 본격 나섰다. /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국산 로봇착유기를 처음 보급하며, ‘디지털 낙농’ 기반 확보에 본격 나섰다. /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국산 로봇착유기를 처음 보급하며, ‘디지털 낙농’ 기반 확보에 본격 나섰다.

도 농업기술원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한국형 로봇착유기 보급 시범 사업’을 통해 논산 젖소농가 1곳에 로봇착유기 보급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통계청이 2020년 낸 축산물 생산비 조사 보고서를 보면, 젖소 1마리 당 연간 투입 노동 시간은 71.1시간이다.

이 중 우유를 짜는 시간은 30시간으로, 전체 노동 시간의 42%에 달한다. 또한 지난해 기준 국내 낙농업 경영주 47.5%가 60대 이상으로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그동안 국내 낙농가 일부가 외국산 로봇착유기를 도입해 사용해왔으나,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에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해 보급한 한국형 로봇착유기는 국립축산과학원이 민간과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기존 세척→착유컵 부착→착유→소독 등 인력이 투입됐던 과정을 자동화했다.

특히 가격은 2억 원원 안팎으로 외국산 로봇착유기보다 저렴하며, 유지관리비도 적게 투입된다.

젖소 1마리 당 체류 시간 7분 34.5초, 1일 착유 가능 횟수 190.1회, 1일 1마리 당 3회 착유 시 1대 당 착유 가능 마릿수 63.4마리 등 성능은 외국산과 비슷하다.

국산 로봇착유기는 이와 함께 우유를 짜면서 유량과 성분 등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생산성 저하 요인, 잠재 질병 양상, 대사 문제 등을 사전 예측하고, 조기 처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개체별 맞춤 사양이 가능하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국산 로봇착유기가 확대 보급되면, 농가 효율성과 생산성, 수익성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도내 디지털 낙농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도 농업기술원은 연내 서산 지역 낙농가에도 한국형 로봇착유기 보급 시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