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9일까지 뿌리공원 일원에서 다양한 공연과 체험공간 제공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뿌리공원 일원에서 열린 제13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가 방문객 35만6천여 명이 다녀가며 3년만에 열린 축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올해는 ‘효로 통하는 세상 '효통1번가’라는 주제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프로그램이 선을 보였다. 축제 첫째날은 샌드아트 사전공연을 시작으로, ‘효심뮤직페스티벌’이 진행됐다. 또 찬또배기 이찬원과 박기영의 축하공연으로 흥을 더하고, 라이브효심 불꽃놀이와 낙화놀이로 3일간 여정을 화려하게 시작했다.

 

둘째날은 대전효문화뿌리축제의 백미 중 하나인 ‘전국문중퍼레이드’가 펼쳐졌다. 전국 문중이 참여해 대규모 입장 행렬을 펼치는 행사로 오직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퍼포먼스다. 올해는 전국 108개 문중이 문중별 대표 인물을 선보이는 시간을 가졌다.

 

청소년들의 끼와 장기를 선보이는 ‘전국효문화청소년페스티벌’에서는 30여 개 초중고와 대학교 동아리팀이 열정 가득한 무대를 선보였다. ‘효테마 도전골든벨’, ‘혼례문화의 변천에 따른 헤어쇼’, 유튜브 ‘창현의 거리노래방’ 등도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었다.

 

가을을 재촉하는 비속에서도 축제 인파는 끊이지 않았다. 축제 마지막날인 셋째날에 진행된 ‘함께해 효 세족식’에는 가족, 연인 등 다양한 관계의 방문객들이 참여해 그동안 표현하지 못한 사랑의 마음을 전했다. 또,  가족사랑 ‘뿌리백일장’, 한글날을 맞이해 마련된 ‘우리가족 한글 받아쓰기’, 서정엿장수놀이, 각 동의 풍물단이 펼치는 ‘전통효심한마당’이 마지막 날의 흥을 이었다. 폐막공연에는 가수 장민호와 김다현이 흥겨운 무대룰 펼쳤고, 효심불꽃놀이를 끝으로 제13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는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외에도 효문화뿌리축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설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문중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뿌리체험마을, 효심약방 효심전화 등 효를 주제로 한 효체험마을, 에어바운스, 마술 공연 등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성씨놀이터, 수변무대의 ‘코코몽’ 공연도 빼놓을 수 없었다. 또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정책에 대한 현장의 소리를 듣고자 마련한 부스에서는 아이를 키우는 양육자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먹거리장터에도 큰 변화 있었다. 올해는 20여 개 업소에서 분식류부터 치킨, 파전, 국밥 등 37개 메뉴를 판매하고 푸드트럭에서는 커피, 생과일주스 등 맛있는 음료를 준비했다. 지난해 지역 소상공인 회복을 기원하며 온라인 판매를 진행한 ‘만복장터’는 소상공인 플리마켓 ‘좋은날’로 돌아왔다.

축제장 곳곳에서 쓰레기를 줍고, 행사 안내를 맡는 등 숨은 공신으로 활약한 많은 자원봉사자도 빼놓을 수 없는 축제의 공신이다.

김광신 중구청장은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열린 축제를 안전하게 마무리 했다”며, “세대 간 소통으로 화합의 장을 이루어내는 효문화뿌리축제가 많은 분들의 참여로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되어 기쁘고,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