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호준 의원 “남부·북부 청년 여건 달라…특화된 지원체계 필요”
김현삼 대표 “북부 청년 수요 반영해 차별화된 프로그램 마련하겠다”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가 사실상 ‘남부 출장소’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경기도의회에서 제기됐다. 남부와 북부의 청년 여건이 크게 다른 만큼, 지역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정책과 운영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열린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유호준 의원(더불어민주당·남양주 다산·양정)은 “지난 7월 경기도 청년기본조례 개정으로 남부와 북부에 각각 청년지원센터가 설치되도록 근거를 마련했지만, 현재 두 센터 모두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 위탁을 맡게 되면서 북부센터가 실질적인 ‘북부 출장소’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 조례 개정은 경기북부 청년활동가들의 의견을 직접 반영한 결과로, 지역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그럼에도 남부와 동일한 구조로 운영된다면 북부 청년들의 요구와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현삼 경기도미래세대재단 대표는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는 단순한 하위 조직이 아닌, 미래세대재단 북부지소와 북부 청년지원센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한다”며 “지역의 청년 특성과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인력 구성과 프로그램 기획 단계부터 차별화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북부센터에 별도의 예산이 확보된다면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과거 남양주시 청년정책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경기북부의 청년정책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체감했다”며 “청년 정주 여건이 남부와 다른 만큼 북부센터는 남부와 구분되는 역할과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남부센터와 동일한 수준의 예산과 인력이 북부센터에도 투입되어야 진정한 균형발전이 가능하다”며 “북부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독립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청년정책이 ‘균형’이라는 이름 아래 획일화되지 않도록, 지역의 현실과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추진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