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는 학생을 볼모로 잡은 무리한 파업을 멈춰라'라는 제목의 성명 발표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이은권, 이하 시당)이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의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당은 지난 8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는 학생을 볼모로 잡은 무리한 파업을 멈춰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할 것을 요청했다.
시당은 “지난 5월 중순부터 대전의 20여 개 초·중·고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이하 학비노조)의 파업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운을 뗀 후 “그리고 10여 개 초·중·고에서 파업이 진행 중이거나 또는 앞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면서 “특히, 선화초등학교·옥계초등학교·둔산중학교 등은 이번 파업으로 정상급식이 진행되지 못하여 학생들의 피해가 심각하다”며 “게다가 학비노조는 자신들의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파업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어서 학생들의 급식 차질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시당은 이어 “파업이라는 단체행동이 헌법에 보장된 근로 3권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면서 “그러나 이는 반드시 적법하게 행사되어야 한다”며 “그리고 교육청과 학비노조 측이 성심껏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도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당은 “하지만, 최근 학비노조의 요구들을 보면 차마 교육청이 받아들일 수 없는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언급한 후 “이는 학생의 건강을 볼모로 자신들의 밥그릇만 지키려는 과도한 요구로, 결코 시민의 호응을 얻지 못할 요구라”면서 “학비노조는 비근무자의 연간 근무일수 320일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라며 “이는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는 방학에도 출근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당은 “또한 수작업을 지양하고, 반찬종류를 줄여달라는 요구도 하고 있다”면서 “이 말은 급식의 질을 떨어뜨리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며 “근로여건 개선을 원하는 것은 당연한 것일 수 있다”고 역설했다.
특히, 시당은 “그러나 학생들이 먹을 급식의 질을 떨어뜨려서는 안 된다”면서 “결코 대전시민들께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뿐만 아니라 5월 중순에는 학비노조의 사무실 점거 시도 중 충돌로 인하여 교육청 직원이 뇌진탕 등의 상해를 입는 불미스러운 사건도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시당은 끝으로 “이미 학비노조의 무리한 파업으로 장기간 학생들이 피해를 받고 있다”고 피력한 후 “그리고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와 위압적 사무실 점거 등 일부 노조원들의 불법적 행태로 합의는 멀어지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무리한 요구를 거두고 합리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할 것을 학비노조 측에 강력히 요구한다”며 “국민의힘은 시민의 삶을 지키기 위해 협상 타결까지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